[착한 식당 착한 이야기]공부-왕따에 지친 조카들을 위해… 고모표 힐링 김밥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5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한줄 4000원… 경기 고양시 ‘알라딘 가족밥상’

‘알라딘 가족밥상’을 운영하는 김월선 씨의 얼굴에 웃음꽃이 피었다. 김 씨는 “엄마의 마음으로 아이들에게 좀 더 좋은 음식을 해줄 수 있어 행복하다”고 했다. 김 씨가 조카 지현 양(10)에게 줄 떡볶이를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 고양=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알라딘 가족밥상’을 운영하는 김월선 씨의 얼굴에 웃음꽃이 피었다. 김 씨는 “엄마의 마음으로 아이들에게 좀 더 좋은 음식을 해줄 수 있어 행복하다”고 했다. 김 씨가 조카 지현 양(10)에게 줄 떡볶이를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 고양=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바쁜 일과에 쫓기는 직장인들이 한 끼 식사로 간편하게 먹는 김밥. 보통 김밥집에선 1500∼2000원이면 김밥 한 줄을 사먹을 수 있다. 편의점에 가면 1000원짜리도 있다.

그런데 김밥 가격이 4000원이라면 어떨까. 그것도 조그마한 동네 분식집에서. 식당을 방문하기 전에 주변 사람들에게 물었다. 만약 김밥 한 줄이 4000원이라면 사먹겠느냐고. 돌아오는 대답은 “절대 안 사먹지”였다. ‘김밥이 다 거기서 거기지 도대체 뭐가 다르기에 4000원씩 받을까.’ 의구심을 가득 품은 채 문제의 김밥집을 찾아 나섰다.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킨텍스 맞은편 아파트 단지 앞에는 조그마한 가게들이 줄지어 늘어서 있는데 ‘알라딘 가족밥상’도 그곳에 있다. 빨강 초록 글씨로 간판을 단 분식집이다. 가게 이름 아래 ‘음식이 세상을 바꾼다’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 워낙 평범하고 간판이 작아 내비게이션에 주소를 찍어 놓지 않았다면 한참 헤맸을 것이다.

조심스레 문을 열고 분식집 안으로 들어섰다. 33m² 남짓한 가게 안에는 4명씩 앉을 수 있는 테이블 7개가 보였다. 오후 3시였는데 테이블 3개에 손님 7명이 앉아 있었다. 50대로 보이는 아주머니 2명이 음식을 만들고 서빙을 했다.

벽에 붙어 있는 메뉴를 봤다. ‘진짜 분식집 맞아?’ 하고 입이 떡 벌어졌다. 야채김밥 4000원, 쇠고기멸치김밥 4500원, 멸·추(멸치·청양고추) 김밥 5000원, 떡볶이(2인분 기준) 6000원, 순대(2인분 기준)는 무려 1만4000원.

주문하고 5분 정도 지났을까. 이 집에서 가장 잘 나간다는 4000원짜리 야채김밥이 기자가 앉은 테이블에 놓였다. 시중에서 파는 김밥의 1.5배가 넘는 크기다. 탱탱하게 말아 놓은 김밥 안에는 당근 시금치 우엉을 비롯해 빨강 초록 하양 노랑의 싱싱한 채소가 눈을 즐겁게 했다. 김밥 한 조각을 ‘콕’ 집어 입에 넣자 ‘아삭아삭’한 식감이 입안 전체를 감돌았다. 씹으면 씹을수록 채소의 상큼함이 느껴졌다. ‘쇠고기멸치김밥’은 더 독특했다. 쇠고기의 고소한 맛과 볶음 멸치의 바삭바삭한 맛이 이렇게 잘 어울리는지 이날 처음 알았다.

주인 김월선 씨(52)가 말하는 맛의 기본은 좋은 재료다. 모든 재료가 국내산이다. 야채김밥의 재료는 쌀을 포함해 달걀 우엉 시금치 당근 단무지 햄 등 7가지. 쌀은 무농약, 달걀은 무항생제, 우엉 시금치 당근은 모두 유기농이다. 보통 김밥집이나 분식점의 단무지는 새콤달콤한 맛을 내기 위해 노란 색소를 쓰지만 이곳 단무지는 소금과 설탕만으로 절여 하얀색이다. 김밥 속 햄도 첨가물이 전혀 들어가지 않은 것만 쓴다. 김밥 위에 바르는 참기름도 생활협동조합에서 산 참깨로 직접 짠 것이다. 소금은 갯벌 천일염, 밑반찬으로 직접 담근 김치와 2, 3일 묵힌 오이와 무 피클을 내놓는다. 화학조미료는 전혀 쓰지 않는다.

‘알라딘 가족밥상’은 지난해 6월 채널A ‘이영돈 PD의 먹거리 X파일’에서 착한 식당 12호로 소개되면서 유명해졌지만 김 씨는 아직 개업한 지 1년 3개월밖에 안 된 초보 사장이다. 소박한 일상을 접고 김밥집을 내게 된 사연을 물었다.

“중학교에 다니는 조카가 학업 스트레스와 왕따 문제로 하루하루 학교 가는 걸 힘들어했어요. 무척 안쓰러웠지요. 조카에게 뭐라도 해주고 싶었어요. 아이는 김밥 라면 피자 콜라 햄버거 치킨 같은 인스턴트식품을 하루 종일 입에 달고 살았어요. 남동생네가 맞벌이여서 제대로 챙겨 먹이지 못한 거죠.”

김 씨는 조카 또래 아이들이 건강한 음식을 먹고 착하고 행복하게 자랐으면 하는 생각에 분식집을 내기로 했다. ‘알라딘 가족밥상’이라는 이름은 알라딘의 요술 램프처럼 아이들의 소원도 들어주고 집에서 먹는 음식처럼 해 먹이고 싶어서 직접 지었다. “인스턴트 음식과 멀어질수록 몸과 마음은 건강해진다고 늘 생각해 왔어요. 집에서 하듯 먹이면 될 거라고 철석같이 믿었죠.”

김 씨의 고향은 가게 근처 송포동이다. 지금은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섰지만 당시만 해도 벼농사 밭농사를 짓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었다. 농사를 짓는 부모를 돕고 자라 온 그에게 야채를 키우고 수확해 밥상을 차리는 일은 생활 그 자체였다. 가게를 열기 전까지만 해도 텃밭에 채소를 길러 주변 가족이나 이웃과 나눠 먹었다. 그만큼 음식에는 자신이 있었다.

하지만 시작부터 벽에 부닥쳤다. 결혼도 하지 않았고 사회 경험이 많지 않은 김 씨가 가진 돈으로 개업은 엄두도 낼 수 없었다. 주변에서 돈을 빌려 지난해 2월 보증금 500만 원, 월세 50만 원짜리 가게를 얻었다. 시설비를 포함해 5000만 원이 들어갔다.

개업 초기에 손님들이 한두 번 찾더니 점점 발길이 끊겼다. 문제는 비싼 가격이었다. “좋은 재료를 쓰면 손님들이 알아줄 거라 생각했는데 오산이었어요. 날이 갈수록 적자만 쌓여갔지요.”

가격이 비싸다 보니 무심코 들어왔다가 가격표만 보고 ‘죄송합니다. 다음에 또 올게요’ 하며 나가는 손님이 많았다. 심지어는 ‘여기 분식집 아니에요?’ ‘정말, 이 가격 맞아요?’ 하고 되묻는 사람도 있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김밥을 먹어 본 사람들도 하나같이 ‘맛이 별로’라고 혹평했다. 한번은 남동생이 하는 회사에 간식으로 보내 준 김밥이 고스란히 되돌아왔다. 조카조차 “(김밥 전문점인) ○○○○ 김밥이 더 맛있다”고 타박했다. 조미료나 인공첨가물에 길들여진 입맛이 문제였다. 하루 7만∼8만 원 수입이 전부였다. 종업원 월급에 임차료 재료비 주고 나면 손에 쥐는 게 없었다.

그런데 방송이 나간 후 상황이 달라졌다. 방송을 계기로 건강한 먹을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김밥을 사려는 이들의 줄도 길어졌다. 한동안 밀려드는 주문에 감당이 안 됐다고 한다. “하루에 10줄이 고작이던 김밥을 150줄 넘게 팔았어요. 몸은 힘들었지만 매일 마이너스던 장부에 수입이 쌓이자 힘이 절로 났지요.”

그렇게 한 달이나 지났을까. 손가락 관절이 부어오르고 염증이 생겼다. 하루 열두 시간 이상을 손으로 꾹꾹 눌러 가며 김밥을 싸면서 생긴 증상이었다. 지금까지도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그래도 장사 잘되면 좋지요” 하며 김 씨는 웃었다.

김 씨는 개업 초기부터 플라스틱 대신 스테인리스 그릇만 쓴다. 물은 보리차나 옥수수차를 끓여서 내놓는다. 가게 안의 공기를 맑게 하고 조리하는 이의 건강을 위해 가스레인지 대신 전기레인지를 쓴다.

이제는 단골도 많이 생겼다. 임산부, 환자, 50∼60대 주부가 많이 찾는다. 차로 20분 거리에 국립암센터가 있어 치료를 받으러 왔던 환자들이 종종 가게에 들른다.

“한번은 암에 걸린 스님 한 분이 찾아왔어요. 밖에 나오면 자기 같은 암 환자는 먹을 게 없는데 좋은 음식 만든다기에 물어물어 찾아왔다고 하더라고요. 그땐 정말 보람도 느꼈어요.”

요즘 김 씨는 일하는 짬짬이 친환경 음식 조리 책을 읽는다. 손님들에게 좀 더 나은 음식을 만들어 내놓기 위해서라고 했다. 김 씨는 취재가 끝나고 돌아서는 기자에게 한 가지 부탁을 했다.

“이 말은 꼭 좀 넣어 주세요. 우리 집 장사가 안 돼도 좋으니까 집에서 부모들이 아이들과 함께 밥을 먹으며 얘기를 했으면 좋겠어요. 부모와 아이 간에 그럴 정도의 여유는 있는 세상이 됐으면 좋겠어요.”

고양=조영달 기자 dalsarang@donga.com
#착한식당#알라딘 가족밥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