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지역상품 4%만 구매 ‘홀대’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6월 11일 03시 00분


콧대 높은 대전지역 백화점-대형 할인마트들

대전지역 주류업체인 A사 사장(57)은 지난해 지역 할인마트 몇 곳을 찾아갔다. “대전에서는 꽤 유명한 술이니 입점하고 싶다”고 제안했다. 담당자는 “본사에서 결정할 일이다. 알아보겠다”고 했다. 그리고 1년 가까이 지났지만 아무 연락이 없었다.

대전여성벤처협회의 한 관계자는 “아무리 좋은 제품을 만들어도 지역에서 생산됐다는 이유로 백화점은 물론 할인마트에서 홀대받기 일쑤”라고 말했다. 대전지역 백화점과 대형 할인마트의 지역 상품 구매는 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 상품 구매, 업체 입점 여전히 낮아

대전시가 최근 지역 11개 백화점과 대형 할인마트, 기업형 슈퍼마켓에 대해 지난해 지역경제 참여도를 조사한 결과,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갤러리아, 롯데, 세이 등 3개 백화점과 홈플러스, 롯데마트, 이마트, 코스트코 등 4개 대형 마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롯데슈퍼, 이마트에브리데이, GS슈퍼 등 4개 기업형 슈퍼마켓(SSM)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는 △지역 상품 구매 △지역 업체 입점 △지역 상품 기획전 및 상설매장 설치 △인력 고용 △홍보물 제작 △청소 및 폐기물 처리 시 지역 업체 활용 △지방세 납부 △공익사업 분야 등 8개 항목.

조사 결과 이들 업체의 지난해 총매출액은 2조2203억 원으로 전년도 2조2207억 원에 비해 4억 원 감소했다. 지역 상품 구매는 매출액 중 대형 마트가 4.5%, 백화점이 3.7%로 백화점의 구매율이 매우 낮았다. 백화점의 지역 상품 구매율은 세이가 비교적 높았으며 대형마트는 홈플러스, 롯데마트, 코스트코, 이마트 순이었다. 백화점에 입점한 업체 1792곳 중 지역 업체는 246곳으로 13.7%에 불과했다.

지역 업체 활용은 지난해 총 247억 원으로 전년보다 4억 원이 증가했다. 247억 원을 내용별로 보면 경비·주차·청소용역이 18%, 홍보물 제작 등 광고비 21.4%, 건물·집기 수선 등 기타 부문이 60.6%를 차지했다.

백화점의 지역 업체 활용은 세이, 갤러리아, 롯데 순으로 높았다. 대형 마트는 이마트, 롯데마트, 코스트코, 홈플러스 순이었다.

○ 지방세는 매출액의 0.4%에 불과

11개 업체가 고용하고 있는 인력은 모두 3271명이었으며 이 중 지역 인력 고용은 3069명으로 95%에 달했다. 백화점은 84%로 평균치보다 낮았다. 공익사업으로 40억 원을 사용했으나 대부분 내방객을 늘리기 위한 문화센터 운영에 사용했고(73.9%), 순수 복지사업 및 장학금 지급은 26.1%에 불과했다. 지난해 11개 업체가 낸 지방세는 90억 원에 불과했다. 전체 매출액(2조2203억 원)의 0.4%에 불과한 것이다.

지역 상품은 대부분 농산물이었으며 상설매장은 홈플러스 둔산점과 서대전점, 롯데마트 대덕·노은점에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지역 상품 구매 및 공익사업이 축소된 것은 지속적인 경기침체와 체감물가 상승에 따른 유통업계의 전반적인 매출액 감소가 원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지역 업체에 대한 무관심과 입점 물품 및 업체 선정이 주로 본사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이기진 기자 doyoce@donga.com
#대전시#백화점#대형 할인마트#기업형 슈퍼마켓#지역상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