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대구 산격동 주민들, 경북도청 이전 무대책 한숨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6월 11일 03시 00분


내년하반기 안동 이전 앞두고 청사 터 활용방안 아직 없어 지역주민들 생존대책 요구
대구시 “예산 최대한 빨리 확보”

대구 북구 산격동의 경북도청. 내년 하반기 안동 이전을 앞두고 청사 터 활용 방안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경북도 제공
대구 북구 산격동의 경북도청. 내년 하반기 안동 이전을 앞두고 청사 터 활용 방안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경북도 제공
“대구시는 도청 후적지 개발에 적극 나서라!” “후적지 조성을 주민들 시각에서 추진하라!” “도청 주변 건축제한을 철폐하라!” “경북도청 후적지에 대구시청이나 법원을 유치하라!”….

대구 북구 산격동 경북도청 주변에 최근 걸린 현수막 내용이다. 도청 정문을 비롯해 인접한 대구실내체육관 주변에 30여 개가 걸려 있다. 이성근 도청 후적지 개발 주민대책위원회 사무국장은 10일 “대구시와 북구가 도청 이전 후 대지 활용(후적지)에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도청 주변 주민들의 생존이 달려 있는 만큼 주민들의 뜻을 모아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민대책위원회는 산격1, 4동 대표 44명으로 구성됐다. 도청 이전 후 공동화에 따른 위기감이 높아지는데도 후적지 개발 등에 주민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는다는 판단에서다. 황진해 산격1동 대책위원장은 “대구시가 지금부터라도 공청회를 열어 주민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주민들의 정당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집회 등 대응 수위를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경북도청이 내년 하반기 안동으로 이전하는데도 대구시는 도청 청사 터 활용에 대한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경북도는 청사 이전과 신도시 조성을 국비 확보를 통해 계획대로 추진하고 있다.

도청 주변 주민들은 걱정이 태산이다. 음식점을 하는 김모 씨(52)는 “손님 대부분이 도청 직원들인데 청사가 없어지면 매출의 80%는 줄어들 것으로 본다. 안동으로 갈 수도 없어 벌써부터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고 하소연했다.

경북도청과 산하기관 60여 곳이 이전하면 인구만 1만4000여 명이 감소할 것으로 대구시는 예상한다. 도청과 경찰청, 교육청 등 3개 핵심기관에서만 7900여 명이 빠져나갈 것으로 보인다. 대구경북연구원에 따르면 인구 감소에 따른 생산 및 부가가치 감소는 4500억 원, 취업 감소는 4000여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사업비 문제로 도청 터 개발은 진전이 없는 상태다. 국립인류학박물관이나 산업기술 문화공간, 국립자연사박물관 등을 건립하자는 구상이 나왔지만 예산이 최대 3조 원에 달해 대구시가 감당하기 어려운 데다 대구 발전에 도움도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흐지부지됐다.

대구시는 문화와 교육, 산업을 아우르는 활용 계획을 구상하고 있지만 사업비 확보가 어려워 뾰족한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시 산하기관 중 임대청사를 사용 중인 기관을 우선 배치한다는 계획도 검토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 경북 대전 충남 등 도청 이전과 관련 있는 4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특별법이 제정되면 도청 터 개발 사업을 국비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최대한 빨리 국비를 확보해 터 활용을 위한 기초용역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영훈 기자 jang@donga.com
#산격동#경북도청 이전#안동#예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