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가 최소 3일 이상 걸리던 식중독 원인 규명작업을 1시간 내로 단축시키는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개발이 완료되면 식중독 예방은 물론이고 사후 대응이 지금보다 획기적으로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식약처는 모든 식중독균의 유전자(DNA) 염기서열을 분석해 균주은행에 보관하고 이 정보를 내장한 첨단 휴대용 식중독균 검출 키트를 2017년까지 개발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먼저 총 45억 원을 투입해 식중독 관리대상인 16개 종과 변종 위해미생물 등의 DNA 염기서열 분석을 2015년까지 마칠 예정이다. 그 결과 수집된 식중독균 정보는 정부가 운영하는 균주은행을 통해 통합 관리된다.
이와 함께 식약처는 총 30억 원을 들여 여러 가지 균을 한꺼번에 검출하는 메타게놈 분석 기술을 2016년까지 개발하기로 했다. 지금은 한 번에 한 가지 균밖에 규명할 수 없다.
식약처는 위 두 가지 기술을 접목한 최첨단 휴대용 식중독균 검출 키트를 2017년까지 개발하기로 했다. 음식물, 수분, 세포 등을 검출 키트에 떨어뜨리면 자동으로 DNA 정보 분석을 통해 원인균의 정보가 제공된다. 조선시대 왕이 먹는 음식물에 독극물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은수저를 사용했던 것과 비슷한 개념이다.
지금은 식중독이 발생하면 역학조사팀이 현장에 출동해 식품 샘플과 환자의 배설물들을 수거한다. 검체에서 균주를 추출해 배양하는 작업에 최소 3일, 길게는 일주일 이상이 걸린다.
이렇게 시간을 들여도 식중독 발생의 원인을 정확하게 밝히지 못하는 때도 많다. 질병관리본부의 역학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부터 3년간 식중독의 원인 식품을 규명한 비율은 33%에 그쳤다. 식중독 원인균을 밝혀낸 비율도 60%에 불과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을 신속 정확하게 밝혀내지 못하기 때문에 사후 대처는 굉장히 늦어질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정승 식약처장은 “첨단 검출 키트가 전국의 식품 조리장에 보급되면 식중독 예방 및 사후 관리에 획기적인 변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