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광주 “U대회 시설-경험 살려 저비용 수영선수권 치른다”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7월 22일 03시 00분


■ 대회 유치 의미와 향후 일정

강운태 광주시장을 단장으로 한 2019 세계수영선수권대회 광주 유치 대표단이 21일 광주공항에 도착해 시민들의 환영을 받았다. 강 시장은 “정부의 예산 지원 철회 방침에 대해 오해를 풀겠다”고 말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강운태 광주시장을 단장으로 한 2019 세계수영선수권대회 광주 유치 대표단이 21일 광주공항에 도착해 시민들의 환영을 받았다. 강 시장은 “정부의 예산 지원 철회 방침에 대해 오해를 풀겠다”고 말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광주가 제18회 2019 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유치했다. 수영선수권대회는 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대회와 더불어 단일종목 3대 세계 스포츠 축제다. 2019년 7∼8월 광주에 세계 202개국 수영선수 7000여 명과 수영 동호인 1만3000여 명이 온다. 수영선수권대회 개최 의미와 필요한 준비사항을 살펴본다.

○ 수영 선수와 동호인 2만 명 온다

광주시는 2015 광주여름유니버시아드(U) 대회를 개최하는 경험과 시설을 활용해 대회를 치르겠다는 전략이다. 또 U대회와 수영선수권대회를 잇따라 개최해 광주의 도시 브랜드를 높이고 국제스포츠도시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수영선수권대회 경영 경기장은 현재 신축 중인 광주 광산구 남부대 U대회 수영장을 사용하게 된다. 수영장 주변에는 임시시설을 설치해 수구, 싱크로나이즈드스위밍을 진행한다. 전남 나주시 중흥리조트 주변 나주호를 장거리 레이스인 오픈워터와 다이빙 경기장으로 쓴다. 수영선수권대회는 U대회 수영경기장 등을 활용하기 때문에 건설비용이 따로 많이 들지는 않는다. 수영선수권대회 예산 635억 원 중 경기장 예산은 보수비용 185억 원이다. 나머지 450억 원은 조직운영(40억 원), 경기운영(116억 원), 미디어센터운영(85억 원), 기타 행사비용(209억 원)이다.

광주시는 수영선수권대회 예산을 정부 55억 원, 자체부담 330억 원, 사업수입 250억 원으로 확보할 계획이었다. U대회 개최경험을 토대로 저비용 고효율로 수영선수권대회를 치를 각오다. 하지만 수영선수권대회 재정보증서 위변조 파문으로 정부 지원은 불투명하게 됐다. 사업수입 확보에도 난항을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10월 수영선수권대회 준비위원회를, 연말까지 조직위를 만들 방침”이라고 말했다. 내년 2월에는 집행이사 선출과 사무국 조직구성을 끝내고 내년 6월에는 수영선수권대회 기본운영계획을 국제수영연맹(FINA)에 제출할 계획이다. 수영선수권대회가 국제행사인 만큼 정부 지원과 특별법 제정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 포스트 U대회를 뛰어넘어 치밀한 전략 짜야

U대회는 2015년 7월 광주에서 세계 170여 개국 대학생 2만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린다. 광주월드컵경기장 등에서 21개 종목이 진행된다. U대회 예산 8000억 원 중 2500억 원은 국비이며 1200억 원은 사업수익이다. 광주시가 나머지 4300억 원을 부담한다. 광주시는 U대회에 필요한 경기장 76개 중 수영장, 다목적 체육관, 양궁장을 새로 짓는다. 나머지 73개는 기존시설을 리모델링하거나 보수해 쓴다. 광주시 한 관계자는 “U대회 예산을 최대한 아끼려하고 있지만 시 재정에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U대회 개최에 앞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개관한다. 또 호남선 고속철도(KTX)가 완공돼 서울 용산에서 광주까지 1시간 32분이면 도착할 수 있다. 교통, 숙박과 문화시설 등이 수영선수권대회 개최 이전에 모두 완비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수영선수권대회의 경우 세계 10억 명이 실시간으로 시청한다고 설명한다. 2009년 이탈리아 로마대회의 방송 가치는 14조 원, 2011년 중국 상하이대회의 방송가치는 18조 원으로 추정됐다. 대회기간도 선수들이 참여하는 챔피언십(16일)과 동호인들이 참석하는 마스터스(15일)로 다른 대회보다 더 길어 국가 이미지와 관광 수입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광주발전연구원은 수영선수권대회가 생산유발 2조4000억 원, 부가가치유발 1조 원, 고용창출 2만4000명의 경제효과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밖에 도시 브랜드 향상으로 광주시의 주력 산업인 광산업, 자동차, 가전, 신재생에너지의 수출 증대와 투자 유치 확대도 예상된다. 시민 김모 씨(54)는 “수영선수권대회를 단순히 포스트 U대회가 아닌 새로운 기회로 생각해 철저히 준비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