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와 경기 시흥시는 2009년 시흥캠퍼스 공동추진단을 발족시키고 시흥시 정왕동 배곧신도시 내 66만1000m²의 용지에 기숙형 교육시설과 교직원 아파트, 메디컬센터 등을 갖춘 시흥캠퍼스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시흥캠퍼스가 ‘레지덴셜 칼리지’(Residential College·특정 학년이나 학과 학생들이 의무적으로 기숙사에서 생활하며 교육받는 방식) 형태로 운영될 것이라는 소문이 확산돼 학생들이 반발하고 있다. 총학생회 측은 “신입생들이 모두 시흥캠퍼스에서 기숙사 생활을 한다면 선배와의 교류가 소원해지는 등 많은 부작용이 생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학교 측은 “레지덴셜 칼리지는 아직 확정된 방안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학교 측은 서울대 용지가 관악산 자락에 묶여 확장에 한계가 있었는데 이번 사업으로 확장 가능성을 열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시흥캠퍼스를 둘러싼 갈등은 여야 간에도 심화되고 있다. 앞서 추진 과정에서 문제를 제기한 새누리당 함진규 의원(경기 시흥)은 28일 예정된 서울대 국정감사에서 오연천 서울대 총장을 증인으로 신청했다. 같은 당 이장우 의원(대전 유성)도 29일로 예정된 한국토지주택공사 국감에서 김흥식 시흥시장(민주당)을 증인으로 신청했다. 사업을 추진해온 김 시장은 “민간 우선협상대상자와 협상을 진행하는 중요한 시기에 사업 관계자들이 국감장 증인으로 나가면 시흥시민들이 동요할 것”이라며 즉각 증인신청 철회를 요구했다. 김 시장과 민주당 소속 시의원 등은 22일 “김 시장과 오 총장에 대한 증인출석 요구를 철회하라”며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한라건설은 국방부 사업 수주과정에서 뇌물을 건넸다는 혐의로 8월 20일 관급공사 입찰참여 6개월 제한처분을 받았다. 한라건설은 이에 대해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제한처분 취소소송도 제기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22일 현재 아직 제소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시흥캠퍼스 설립을 반대해온 서울대 총학생회와 학생대책위원회는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설립 본계약이 12월로 예정돼 있지만 대학본부는 학내 구성원들과 전혀 소통하지 않고 있다”며 “국회는 밀실행정으로 진행되는 시흥캠퍼스 건립계획에 대한 국정감사를 실시하라”고 주장했다. 또 “학생들의 수업권 문제에 대한 고민 없이 개발사업을 위해 캠퍼스를 분리하는 것은 무책임한 행정”이라며 “등록금과 국고로 운영되는 국립대법인이 무리한 토건사업과 아파트 장사에 의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16일부터 시흥캠퍼스 추진 중단을 요구하며 서울대 관악캠퍼스 본부 앞에 천막을 치고 농성을 벌이고 있다.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2013-10-23 09:56:33
서울대 학생들아, 시흥시 정왕동에서 RC하기 싫으면, 고려대로 편입이나 입학하면 되잖아~. RC하는 서울대 싫으면 느히들이 고려대로 가. 여어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