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응급의료기관 전문의 사이의 유무선 핫라인을 21일 개통한다. 응급환자가 병원을 옮겨야 할 때 신속하게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다.
복지부는 대한응급의학회와 함께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안전한 병원 간 전원(轉院)을 위한 응급환자 이송지침’을 20일 발표했다. 10월 현재 전국 응급의료기관 438곳 중에서 375곳이 참여해 총 629개 선(유선 404개, 무선 225개)이 설치됐다. 의료기관이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환자 이송을 직접 의뢰할 수 있는 별도의 119 핫라인도 갖췄다.
기존 응급의료체계에서 환자 전원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환자 이송을 위해 주변 병원 응급실에 전화하면 주로 간호사가 받았다. 이후에도 응급실에 상주하는 전공의→4년 차 레지던트→전문의까지 차례로 의사결정 단계를 거쳐야 했다. 격무에 지친 전공의가 임의로 환자를 받지 않겠다고 결정하는 때도 없지 않았다.
복지부는 센터급 이상 전문의 사이의 핫라인이 개설되면 응급환자 전원 시간이 빨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응급의료센터에서 진료받은 약 497만 명 중 1.4%(약 7만 명)가 병원을 옮긴 적이 있다. 2만7000여 명은 응급수술이 가능한 병원으로 옮겼다. 5700여 명은 2번 이상 병원을 옮겨 다녔다.
현수엽 복지부 응급의료과장은 “응급환자가 전원을 하면 기존 환자보다 사망률이 4배 이상 높다”며 “환자가 응급실을 이곳저곳 돌아다니지 않고 치료받을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유무선 핫라인 설치가 응급의료체계 개선의 근본 해법이 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응급의료 전문의가 병원의 종합적 상황을 알 수 없고 응급환자를 받을 때의 부담 탓에 환자를 받을지 말지 결정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병원 간 경쟁이 심한 상황에서 핫라인이 순기능을 하기 어렵다는 비판도 있다. 조석주 부산대 응급의학과 교수는 “정부가 응급의료체계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던 1339 전화와 권역별 응급의료컨트롤타워를 없애 놓고 땜빵식 처방을 했다”고 비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