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2명, 예정에 없던 질의응답 요구… 채점지 들고 연구실 들어가 문잠그기도”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3월 4일 03시 00분


서울대 성악과 교수공채 목격자 증언… 학장 “신테너 청문회냐” 질의 제지

비정상적 진행으로 논란에 휩싸인 서울대 음대 성악과 교수 공채 과정에서 실기심사 당일 심사과목이 갑자기 추가되고, 채점 과정에서도 파행이 빚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2월 31일 심사 과정을 목격한 서울대 교수 및 음대 학생들은 3일 “비정상적인 행태들이 있었다”고 털어놨다.

한 음대 교수에 따르면 원래 계획에 없었던 ‘질의면접’이 심사 약 1시간 전 갑자기 추가됐다. 당시 총 5명의 성악과 교수 중 A 교수와 B 교수가 이를 요구했던 것. 두 교수는 공채 1주일 전 열린 학장회의에서도 같은 요구를 했지만 김영률 음대 학장이 “공채공고에 없던 질의면접을 도입할 수 없고 서류심사가 원칙이다”라며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심사 당일 다시 두 교수가 이를 요구하고,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공채가 무산될 상황에 처하자 백승학 교무부처장이 “받아주자”고 중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음대 관계자는 “이 때문에 응시자들이 당일 질의면접을 고지 받고 당황했다”고 전했다. 노래와 교수법 심사가 끝난 뒤 치러진 질의면접에서는 이를 요구한 두 교수만 질의를 하고 나머지 세 교수는 아무 질문도 하지 않았다. 심사장에 있었던 한 교수는 “질문이 신동원 테너에게 집중됐다”며 “김영률 학장이 ‘신 테너 청문회를 하는 것이냐, 그만하라’고 제지했다”고 밝혔다. 신 씨에게 한 질문은 주로 1단계에서 이미 심사를 거친 지원 자격에 관한 것이었다.

두 교수가 공채 기밀서류에 속하는 채점지를 심사장인 음대 콘서트홀 밖으로 들고 나간 사실도 드러났다. 오후 6시가 넘어 심사가 끝나자 A 교수와 B 교수는 자신들의 채점지를 들고 함께 심사장을 나가 화장실로 갔다고 목격자들은 전했다. 이 과정에서 다른 교수들이 “채점지를 갖고 나가면 안 된다”며 제지하면서 소란이 일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약 10분 뒤 심사장으로 돌아온 두 교수는 “여기서는 채점할 수 없다. 지원자 서류를 검토하겠다”며 지원자 서류가 있는 음대 건물로 갔다. 나머지 성악과 교수 세 명은 심사장에서 채점지를 봉인해 김 학장에게 전달한 상황이었다.

이지영 부학장 등의 참관하에 음대 건물 휴게실에서 서류를 살펴보던 A 교수와 B 교수는 채점지를 가지고 A 교수의 연구실로 들어가서 문을 잠갔다. 오후 7시경부터 9시 10분까지 밖에서 다른 교수들이 “채점지를 갖고 나와라. 이러면 안 된다”며 문을 두드리고 소리치는 상황이 벌어졌다. 약 2시간이 지나서야 나온 두 교수는 ‘심사를 할 수 없다’는 의견서를 내고 자리를 뜬 것으로 알려졌다.

당일 사태는 교무부처장 등 본부 관계자도 지켜본 가운데서 벌어졌으나 서울대 본부는 아직까지 진상조사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본보는 두 교수의 해명을 직접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전화를 걸었으나 연락이 되지 않았다.

이은택 기자 nabi@donga.com
#서울대#성악과 교수#교수공채#질의응답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