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로는 말보다 얼굴 표정이 더 많은 것을 이야기한다. 구직자 10명 중 8명 이상이 면접관의 표정을 읽고 자신의 합격 또는 불합격을 예측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11일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와 '언마스크, 얼굴 표정 읽는 기술'(폴 에크먼 저)를 펴낸 청림출판이 최근 공동으로 '면접관 표정의 중요성'에 관해 면접경험이 있는 남녀 구직자 114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이 같은 결과가 도출됐다고 밝혔다.
'면접관의 얼굴 표정을 보고 합격 또는 불합격 가능성을 예감한 적이 있는가?'라는 문항에는 83.4%가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면접관들의 △무표정(36.0%) △미간이 구겨진 표정(19.9%) △입을 꽉 다문 표정(14.7%) △입을 삐죽거리거나 움직이는 표정(11.9%) 등을 보고 자신의 불합격을 예감했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구직자들은 표정관리를 잘할까. '당신은 면접관들로부터 곤란한 질문을 받았을 때 얼굴 표정 관리를 잘 할 수 있는가?'란 문항에는 절반에 못 미치는 43.3%만이 '나는 표정관리를 잘 할 수 있다'고 답했고, 56.7%는 난처한 상황에서 표정관리를 잘 못한다고 답했다.
평소 표정관리를 잘 하지 못해서 손해를 입은 경우가 있다는 응답자도 68.3%가 됐다. '표정을 잘 관리하는 것이 사회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까?'란 질문에는 무려 99%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답했다.
표정관리가 면접은 물론 사회생활을 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생각해서인지 설문에 참여한 남녀 구직자 중 71.3%는 평소 표정관리 연습을 한다고 답했다.
구직자들은 △거울을 보며 표정관리를 연습한다(45.5%)고 답했다. 다음으로 △감정을 통제하는 연습을 한다(33.2%)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의 표정을 물어보고 조언을 구한다(12.9%) △사진을 많이 찍어 본다(5.7%) 등의 노력을 한다고 답했다.
'언마스크, 얼굴 표정 읽는 기술' 저자 폴 에크먼 박사는 "몇 가지 단서를 포착하는 것만으로도 얼굴 표정에 숨은 뜻을 읽을 수 있으며, 평소 그 기술을 연마하면 그때그때 결정적 순간에 활용할 수 있다"고 했다. 즉, 면접관의 표정을 읽을 수 있다면 그에 맞춰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폴 에크먼 박사는 얼굴 표정 관리 연습 방법에 대해 "자신의 다양한 표정을 사진으로 찍어서 생각하는 감정과 실제 얼굴 표정의 차이가 없는지 확인해보는 것에서 시작하라"고 조언했다.
최현정 동아닷컴 기자 phoebe@donga.com
좋아요
1개
슬퍼요
0개
화나요
0개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14-03-11 16:18:30
면접관이 유독 자기에게만 짖궂고 공격적이고 적대적인 질문을 퍼부어면 오히려 안심해도 된다. 99% 합격이다. 많은 사람을 단시간내 봐야 하므로 떨어뜨릴 사람은 상냥히 대하고 금방 끝난다.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14-03-11 16:18:30
면접관이 유독 자기에게만 짖궂고 공격적이고 적대적인 질문을 퍼부어면 오히려 안심해도 된다. 99% 합격이다. 많은 사람을 단시간내 봐야 하므로 떨어뜨릴 사람은 상냥히 대하고 금방 끝난다.
2014-03-12 00:02:06
김한길이는 누구와 내통하고 있는지 ? 안철수는 누구와 내통하고 있는지 정신나간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