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道, 도청 신도시 정주여건 조성사업 속도
2027년까지 복합체육시설 등 조성… 道관계자 “초기 이주 불편 최소화”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난감합니다.”
경북도청 직원 김모 씨(36)는 올 연말 도청 이전에 따라 안동으로 이사해야 할지 늦춰야 할지 고민이다. 아내가 대구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데다 딸이 내년에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때문이다. 자동차로 1시간 반가량 걸리는 새 도청까지 출퇴근하기도 어렵다. 김 씨는 “우선 혼자 방을 얻어서 생활하면서 이사를 생각해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김 씨처럼 현재의 대구시 북구에서 안동으로의 도청 신도시 이주를 걱정하는 직원이 많다. 경북도가 지난해 조사한 결과 도청과 산하기관, 도의회, 도교육청, 경북경찰청, 경북선거관리위원회 등 대구에 근무하는 직원 2200여 명 중 800여 명(37%)이 ‘이주가 어렵다’고 답했다. 자녀 교육과 맞벌이 문제에다 신도시 주거환경이 부족한 게 이유였다.
경북도가 이런 걱정을 덜기 위해 신도시 정주여건 조성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아파트 건립은 순조롭다. 올해 1월 도청 신청사에서 서쪽으로 500여 m 떨어진 곳에 공무원 임대아파트(644채)를 착공했다. 혼자 사는 직원을 위해 원룸 형태(30m²)도 296채 건립한다. 입주는 내년 12월이다. 인근에는 공원과 학교, 병원이 들어설 예정이다.
민간아파트 분양도 잇따른다. 현대산업개발은 도청 신청사와 가까운 곳에 15층 9개동 489채를 짓는다. 14일 안동시 옥동에 견본주택을 공개하고 분양 신청을 받는다.
입주는 내년 11월이다. 이 아파트를 포함해 내년까지 9908채가 공급된다. 경북도는 신도시 조성 3단계 사업을 마무리하는 2027년까지 총 4만 채를 공급해 인구 10만 명의 도시로 만든다는 목표다.
이주 직원들의 자녀를 위해 도청 이전 시기에 맞춰 유치원과 초중고교를 1개교씩 우선 개교할 예정이다. 2027년까지 인구 증가에 따라 유치원 6곳, 초등학교 7곳, 중학교 4곳, 고교 3곳 정도 설립할 계획을 도교육청과 추진한다.
주거 환경을 위해 올해부터 복합체육시설 등을 조성한다. 신도시 인근(풍천면 도양리)에는 환경에너지 종합타운을 추진한다. 2017년까지 1925억 원을 들여 생활 및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시설을 짓는다.
민간 투자자가 시설을 지어 기부한 뒤 20년간 사용권을 갖는다. 모든 시설은 지하에 건립하고 지상은 친환경 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하루 500여 t 쓰레기를 처리하며 전기와 가스, 퇴비도 생산할 계획이다.
연말까지 추진하는 1단계 신도시 조성사업 공정은 현재 54%이다. 도청과 도의회 청사 공정은 65%다. 90여 개 경북 유관기관도 동반 이전한다. 최대진 경북도청 이전추진본부장은 “초기 이주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주거환경과 생활편의시설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