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 중 출산을 경험한 여성들이 경제활동을 계속해 나가는 데 있어 가장 필요한 것은 ‘믿을 수 있는 보육자 확보’다. 제 아무리 뛰어난 교육을 받은 고액 연봉의 직장 여성일지라도 아이를 믿고 맡길 곳을 찾지 못하면 일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런 면에서 현재 국내의 베이비시터 시장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직장맘들은 △아이를 함부로 대하지 않고 △전염병 등 건강질환이 없으며 △주거지나 범죄기록 관련 신분이 확실하고 △교육을 받아 아이를 잘 이해하는 베이비시터를 원하지만 이런 조건을 충족하는 인력은 소수인 데다 이를 공인할 방법도 거의 없기 때문이다.
현재 여성가족부는 이런 조건을 충족하는 베이비시터의 모델사업으로 정부가 직접 교육하고 관리하는 ‘아이돌봄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은 크게 못 미친다. 여성가족부 관계자는 “현재 아이돌봄 베이비시터의 시급은 5500원, 종일제 월급은 110만 원으로 민간에 비해 낮다 보니 일하려는 사람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아이돌봄 베이비시터의 월급이 이렇게 낮은 것은 정부의 예산 운용이 보육비 지원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보육예산 변화를 보면 가장 급격하게 증가한 예산은 가정양육수당 지원 예산으로 전체 보육예산 4조1313억 원 가운데 21.3%를 차지하고 있다. 어린이집 등 영유아 시설보육료 지원은 62.9%를 차지한다. 이에 비하면 아이돌봄 서비스 예산(1.9%)은 1%대에 머무르는 실정이다.
현재 육아휴직 3개월 차인 하진경 씨(31)는 “3개월 뒤면 복직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정부의 베이비시터와 연결됐으면 하는 마음이 절실하지만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며 “양육수당 20만 원을 안 받더라도 믿고 맡길 아이돌봄 베이비시터가 늘어났으면 하는 바람이지만 이런 직장맘의 의견은 정책에 반영되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직장 여성 김모 씨는 “영아 어린이집 자리도 없고 아이돌봄 서비스도 부족한 지금 상황에서 직장맘들이 할 수 있는 선택은 결국 ‘가족에게 손 벌리기’ 아니면 ‘민간 베이비시터 구하기’ 아니냐”라며 “검증되지 않은 베이비시터로 인한 사건사고가 계속되는 만큼 정부가 나서 믿을 수 있는 인력을 획기적으로 확충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