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최근 달성군 구지면에 지능형 자동차부품시험장을 열었다. 39만4500m²에 10여 가지 시험 코스(길이 3.7km)로 구성됐다.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고속주행 도로를 비롯해 차량 내구성 시험구간인 특수도로, 제동 장치와 타이어 기능을 평가하는 범용도로, 주행 안정성을 측정하는 회전도로 등을 갖췄다. 전 구간에 근거리 무선통신(DSRC)과 차세대 무선 교통 통신(WAVE) 기술을 도입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무인 주행시험도 가능하다.
자동차부품시험장은 국제 표준인증 시험항목 37가지 중 34가지를 평가할 수 있다. 미국 스페인 호주 등지의 부품시험장보다 기능이 뛰어나 자동차부품기업과 완성차 업체의 제품 성능 평가 및 신기술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미국이나 유럽에서 시험과 인증을 받았던 기업들은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유럽에서 검사할 경우 한 달 이상 걸리는 데다 비용도 평균 3억 원이지만 이곳을 활용하면 1, 2주가량에 비용도 평균 4000만∼5000만 원으로 가능하다.
넥센타이어는 이곳에 성능시험센터를 설치했다. 연구원 30여 명이 지난달부터 타이어 성능 시험과 신제품 개발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승차감과 소음, 제동 등 100여 건을 시험했다. 넥센타이어 관계자는 “자동차 연료소비효율은 타이어 상태에 따라 10∼15%를 절약할 수 있어 타이어 회사들의 연구 경쟁이 치열하다. 이 시험장은 다양한 코스에서 성능 평가가 가능해 연구개발이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자동차부품 전문기업인 한국델파이도 지난달부터 제동 시험 평가를 시작했다. 기업과 대학의 시험 평가 의뢰도 잇따르고 있다. 현대모비스와 LG이노텍,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이 조만간 자동차 시스템 성능 평가와 전기차 시험 주행을 할 예정이다.
시험장 운영은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이 맡았다. 이선봉 계명대 교수(기계자동차공학부)가 초대 원장으로 취임했다. 지능형(스마트)자동차 전문가인 이 원장은 2010년부터 시험장 건립사업을 이끌어왔다. 대구지역의 자동차부품회사인 에스엘, 평화발레오, 경창산업 등 45개 기업이 시험장 건립에 참여했다. 현대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현대모비스 넥센타이어 등이 특별 회원사로 동참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