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의 ‘2014년 신입사원 채용 실태’에 따르면 대졸 신입사원의 1년 내 퇴사율이 25.2%로 집계됐다. 경총은 전국 405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신입사원 퇴사율은 2010년의 15.7%보다 9.5%포인트나 높아졌다. 2012년의 23.6%보다도 1.6%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신입사원 퇴사율은 특히 중소기업(31.6%)에서 대기업(11.3%)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근무여건이 대기업보다 훨씬 열악해서 재취업에 나서는 비율이 그만큼 높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기업들은 신입사원들의 조기 퇴사 이유로 ‘조직 및 직무적응 실패’(47.6%)를 가장 많이 꼽았다. ‘급여 및 복리후생 불만’(24.2%), ‘근무지역 및 근무환경에 대한 불만’(17.3%) 등이 뒤를 이었다. 퇴사 이유로 ‘공무원 및 공기업 취업준비’라고 답한 비율은 2012년 같은 조사에서 12.4%나 됐지만 올해 조사에서는 4.5%에 그쳤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들은 채용에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 ‘우수 인재 선발난’(37.3%)을 꼽았다. ‘지원자 부족’이라는 애로점을 밝힌 기업도 19.5%나 됐다. 특히 중소기업 4곳 중 1곳은 지원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대기업의 6.5%는 “지원자가 너무 많아 힘들다”고 답해 대조를 이뤘다.
기업들은 신입사원들의 업무 능력에 대해서도 불만족스러워하고 있었다. 기업들이 평가한 대졸 신입사원의 업무수행 평균점수는 2010년 79점, 2012년 77.9점, 올해 76.2점으로 점차 낮아지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