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 리포트]사고해변 말로만 “사용금지”… 출입막는 사람 아무도 없어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7월 16일 03시 00분


[여름철 대한민국 안전은]<下>태안 사설 해병대캠프 사고 1년
‘통곡의 바다’ 다시 가보니…

《 충남 태안군 안면읍 백사장해수욕장 사설 해병대 캠프에 참가했던 공주사대부고 학생 5명이 사망한 지 18일이면 1년이 된다. 희생된 학생들은 무자격 교관의 지시에 따라 구명조끼도 입지 않고 깊은 바닷속으로 들어갔다가 참변을 당했다. 14일 동아일보 취재팀과 함께 사고 해변을 찾은 유족들은 “사고 당시 많은 안전 문제가 지적됐는데 여전히 해결이 안 된 것 같다”고 탄식했다. 유족들은 불법 사설 캠프 폐지를 주장하고 있지만 본보 취재 결과 당국의 관리 소홀로 ‘유사 해병대 사설 캠프’가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

경찰이 되길 꿈꾸던 아들은 삶과 죽음을 가르는 순간에도 친구들을 외면하지 않았다. 깊은 바다에 빠진 친구를 살리려고 주저 없이 바닷속으로 뛰어들었다. 그러나 아들은 결국 자신이 그토록 지키고자 했던 친구들과 함께 싸늘한 시신으로 아버지 곁에 돌아왔다.

지난해 7월 18일 충남 태안군 안면읍 백사장해수욕장에서 열린 사설 해병대 캠프에 참가했다가 숨진 공주대 사범대 부설고 이병학 군(당시 17세) 얘기다. 동아일보 취재팀은 사고 1주년을 나흘 앞둔 14일 이 군의 아버지인 이후식 씨(47·유족 대표) 등 유족 4명과 함께 사고 해변과 학생들이 묵었던 유스호스텔을 찾았다.

○ 유스호스텔은 이름 바꿔 영업 준비

공주사대부고 학생 5명이 목숨을 잃은 해변으로 가기 위해선 유스호스텔을 가로질러야 했다. 사고 당시 공주사대부고와 계약한 안면도유스호스텔(당시 상호)은 여행업체에 해병대 캠프 사업을 위탁했고, 이 업체가 다시 무자격 교관을 고용한 사설 해병대 캠프에 수련활동을 재위탁했다.

유스호스텔은 지난해 11월 태안군의 허가를 얻어 ‘해가든 유스호스텔’로 상호를 바꾼 상태였다. 영업을 재개하려는 모습도 보였다. 숙박용 건물 앞에는 수련활동에 쓰일 법한 무대가 설치됐고, 공사 중인 가건물도 여럿 눈에 띄었다. 유스호스텔 측은 올해 8월까지 휴업을 선언했지만 유족들은 “참사 원인을 제공한 죄를 물어 모든 영업을 취소시켜야 마땅한데 (태안군이) 상호 변경을 허가해 영업 재개 가능성을 열어준 것은 부당하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경찰 조사 결과 바닥이 움푹 파인 ‘갯골’에 빠져 학생들이 변을 당했던 사고 해변은 현재 태안군과 해경이 사용을 금지시킨 상태다. 그러나 취재진의 해변 출입을 막는 사람은 없었다. 부표, 계류장(배가 정박할 수 있는 수상안전시설), 구명정 등 안전을 담보할 장치는 보이지 않았다. 이 씨는 “달라진 게 없다. 민간인이 불쑥 여기 들어와 사고를 당해도 아무도 구해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해변을 둘러보던 유족들은 휴대전화를 꺼내 해변 모래를 인근 해수욕장으로 퍼 나르는 공사를 하고 있던 덤프트럭과 굴착기를 촬영하기 시작했다. 공사 여파로 해변 곳곳에는 최대 1m 깊이의 웅덩이가 생겼다. 이 씨는 “경사가 진 웅덩이는 해수욕객들이 깊은 물속으로 미끄러져 참변을 당하는 사태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유족들이 태안군에 문의한 결과 이 공사는 군청 허가를 받지 않은 불법이었다. 상가번영회 측이 인근 해수욕장의 날카로운 돌을 덮기 위해 임의로 모래를 퍼 나른 것이었다. 해변 관리·감독 책임이 있는 태안군과 해경은 유족의 신고를 받고서야 현장에 도착해 공사를 중단시켰다. 하루 4회 순찰을 한다는 해경 측은 공사 사실을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유족들은 “참사 후 1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관리 소홀로 불법 행위가 자행되고 있으니 한심한 노릇”이라며 혀를 찼다.

○ 유사 해병대 불법 캠프 재개

유족들은 ‘제2의 태안 해병대 사설 캠프 참사’를 막기 위해 모든 불법 사설 캠프를 폐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본보 취재 결과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최소 8곳의 유사 해병대 사설 캠프가 영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8월 해병대가 특허청에 해병대 직영 캠프 외에는 ‘해병대’라는 용어를 쓸 수 없도록 상표등록을 신청해 현재 사설 캠프는 ‘해병대’라는 용어를 쓰지 못한다. 그러나 일부 사설 캠프는 ‘인성 캠프’ ‘극기 캠프’ 등 모호한 명칭을 쓰면서 여전히 해병대식 훈련 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파악된 10개 사설 캠프 운영자들에게 “해병대 캠프를 운영하느냐”고 묻자 8명이 “그렇다”고 답했다. 경북 포항시에서 A캠프를 운영하는 이모 씨는 “태안 사고로 관련 업자들이 몸을 사리다 요즘 들어 영업을 재개했다”고 말했다.

사설 캠프의 훈련 프로그램은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이 인증한다. 그런데 8개 기관 중 인증을 받은 곳은 인천에 있는 B캠프 1곳에 불과했고, 이곳마저도 인증 내용에 빠져 있는 해병대식 훈련을 하고 있었다. 캠프 운영 방식도 감시를 피하기 위해 ‘게릴라형’으로 변했다. 수요가 있을 때마다 교관들을 모아 운영하는 비정기 방식을 택하고 있는 것. 사설 캠프 관계자들은 “언제 단속을 당할지 모른다는 압박감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교관을 졸속으로 모집하는 탓에 무자격자가 채용되는 사태도 빈발하고 있다. 국내 유일의 특전사 캠프라고 주장하는 C캠프 관계자는 “교관 모두가 안전 관련 자격증을 갖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자격증 소지자와 같이 다니기 때문에 문제없다”는 황당한 주장을 펼쳤다.

군과 관계 당국은 유사 해병대 캠프 단속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해병대 관계자는 “해병대라는 명칭을 상호나 프로그램 이름으로 사용할 경우 상표법 위반으로 고발해 처벌할 수 있지만 프로그램 내용만 해병대식으로 할 경우에는 처벌할 수 있는 규정이 없다”고 말했다. 당국의 무책임한 태도 속에 학부모들은 불안감을 표시하고 있다. 중학교 3학년 딸을 두고 있는 김모 씨(43·여)는 “아이들이 남들과 다른 독특한 경험을 쌓게 하자는 차원에서 여름에 캠프라도 보내고 싶은 게 부모 마음”이라며 “엉망으로 관리돼도 문제고, 안 가면 경쟁에서 뒤처질까 봐 걱정되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지난해 7월 18일 충남 태안군 백사장해수욕장에서 열린 사설 해병대 캠프에서 공주대 사범대 부설고 학생들이 바다에 빠져 실종된 뒤 대대적인 수색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동아일보DB
지난해 7월 18일 충남 태안군 백사장해수욕장에서 열린 사설 해병대 캠프에서 공주대 사범대 부설고 학생들이 바다에 빠져 실종된 뒤 대대적인 수색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동아일보DB
태안 사설 해병대 캠프 사고 ::

지난해 7월 18일 충남 태안군 안면읍 백사장해수욕장에서 열린 사설 해병대 캠프에 수련활동 및 병영체험학습으로 참가했던 공주대 사범대 부설고 2학년생 198명 가운데 5명이 바다에 빠져 사망했다. 이들은 구명조끼를 벗고 바다로 들어오라는 교관의 지시를 따르다가 깊은 바다에 빠져 파도에 휩쓸렸다.

태안=정윤철 기자 trigger@donga.com   
이철호 기자 irontiger@donga.com
불법공사까지… ‘태안 사설 해병대 캠프 참사’의 유족 이후식 씨(고 이병학 군 아버지·왼쪽)와 김영철 씨(고 김동환 군 아버지·오른쪽 앞)가 14일 사고 해변을 찾았다. 유족들은 “모래들이 움푹 파인 것은 인근 해수욕장으로 모래를 나르는 불법공사 때문에 생겼다”고 강조했다. 태안=원대연 기자 yeon72@donga.com
불법공사까지… ‘태안 사설 해병대 캠프 참사’의 유족 이후식 씨(고 이병학 군 아버지·왼쪽)와 김영철 씨(고 김동환 군 아버지·오른쪽 앞)가 14일 사고 해변을 찾았다. 유족들은 “모래들이 움푹 파인 것은 인근 해수욕장으로 모래를 나르는 불법공사 때문에 생겼다”고 강조했다. 태안=원대연 기자 yeon72@donga.com
#태안 해병대캠프 사고#안전관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