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무안군은 지난해 10월 전남 17개 군(郡)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았던 해남군을 제치고 인구수 1위로 올라섰다. 3월 말 현재 전체 인구가 8만305명으로, 1992년 8만2163명 이후 22년 만에 8만 명을 넘어섰다. 전남도청 등 공공기관이 옮겨와 남악신도시가 활성화되면서 무안군 인구가 늘고 있다.
무안군이 시(市) 승격을 위한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다. 무안시승격추진위원회는 최근 일로읍 회산백련지에서 시 승격을 위한 군민 결의대회를 열었다. 박일상 추진위원장은 “무안군은 전남도청 이전, 남악신도시 및 오룡지구 개발로 인구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며 “도청 소재지로서 역할과 전남 동부권과 서부권의 균형 발전을 위해서도 무안시 승격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추진위는 2017년 시 승격을 목표로 군민 서명과 입법 청원 운동을 벌이고 있다. 추진위에는 군 번영회와 이장단협의회 등 50여 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군민 3만5000여 명이 서명했다. 현재 3만4000여 명인 삼향읍 인구는 연평균 8.4%씩 늘어 2017년에 ‘읍 인구가 5만 명 이상이면 시로 승격할 수 있다’는 요건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무안군은 이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세종시와 계룡시처럼 특별법 제정을 통해 시 승격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무안군이 시 승격을 추진하면서 목포시가 주도하는 무안반도(목포·무안·신안) 통합은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무안군은 그동안 무안반도 통합이 6차례나 무산된 점을 들어 인위적인 통합에 반대하고 있다. 정서적으로 통합 필요성이 제기됐을 때 3개 시군의 상생발전 차원에서 장기적으로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철주 무안군수는 “전국에서 도청 소재지가 있는 곳 가운데 시가 아닌 곳은 무안과 충남 홍성군뿐이다”라며 “홍성군과 연계해 ‘도청 소재지는 시에 존치한다’는 특별법을 만들면 시 승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