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세 자영업자들의 생계유지에 필요한 '최소 소득'을 보장해달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노동자들의 최저임금처럼 영세 자영업자들을 위해서도 어느 정도의 보호 장치가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13일 소상공인협회에 따르면, 이 단체 주최로 전날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생존가격 법제화를 위한 토론회'에서는 자영업자들의 최소 소득 보장과 관련한 각종 논의가 쏟아졌다. 참석자들은 "PC방, 목욕탕 등 소상공인 중심 업종에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가격이 생존을 위협할 수준까지 떨어지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소한의 수익을 보장 받는 '생존가격'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병곤 한국인터넷PC문화협회중앙회장은 "한때 시간당 1000원이던 PC방 요금이 500원이 될 만큼 가격이 비상식적인 수준으로 떨어졌다"며 "업계의 출혈경쟁이 심해지면서 이제는 점포를 운영하기가 어려울 지경"이라고 말했다.
김학원 한국목욕업중앙회장은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전국 목욕탕 9700곳 중 2500여 곳이 폐업했다"며 "지역 상인들이 적정한 가격을 협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들의 어려운 사정에는 충분히 공감하지만, 가격 협의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위배되고 자유로운 경쟁을 침해해 소비자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중소기업청 관계자는 "적정 가격을 공급자가 결정하게 되면 시장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소상공인들의 기대와는 달리 생존가격도 올라가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토론회에 참석한 조영관 변호사(법무법인 덕수)는 "2010년에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소상공인 과반의 월 평균 순이익이 100만 원을 밑돌 정도였다"며 "소상공인의 생존과 직결되는 최소한의 가격지지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