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시민 안전시스템’ 먹통… 부산시, 폭우에 무방비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8월 27일 03시 00분


이재민 191명 - 공공시설 파손 128건

부산에서는 25일 오후 시간당 최고 130mm의 기록적인 국지성 폭우가 쏟아져 4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다. 도시철도 운행중단, 원전 가동중단, 도로침수 등 도시의 주요 기능도 마비됐다. 이재민은 64가구 191명이 발생했고, 도로 교량 하천 등 128건의 공공시설물 파손 사고가 발생했다.

이날 부산지역에는 오전 9시 10분 호우주의보가, 오후 1시에는 호우경보가 발령돼 폭우 피해가 예상됐다. 오후 4시 호우경보가 해제됐지만 금정구 242mm, 북구 222mm, 기장군 187mm의 비가 내리면서 피해가 잇따랐다.

서병수 부산시장의 핵심 공약인 ‘시민 중심의 안전도시시스템’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부산시는 민선 6기 출범과 동시에 전국 지차체로는 처음으로 소방, 해경, 군, 경찰의 상시 근무시스템인 통합안전협력팀을 발족했다. 그러나 재난대응 매뉴얼을 정비하고 재난 발생 때 인력, 장비, 시설 등을 신속히 동원할 수 있도록 구축한 민관군 협의체의 활동은 미미했다. 시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재난발생 현황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했다. 도로통제구간, 산사태, 인명피해 상황에 대해 “구·군에서 보고가 올라오지 않았다. 경찰이나 소방 쪽에 알아보라”는 답변이 대부분이었다.

서 시장은 이날 오전 국비 확보를 위해 경제부시장 등 간부공무원 6명과 함께 세종시 기획재정부를 방문한 뒤 비가 그친 오후 5시 40분 부산으로 내려왔다. 오후 6시경에야 재난회의를 열었다. 서 시장은 26일 오전 현장점검에 나섰다.

안타까운 인명사고도 잇따랐다. 동래구 온천2동 우장춘지하차도에서 2명이 숨진 차량침수 사고는 재난안전시스템이 제대로 가동됐다면 예방할 수 있었다. 경찰에서 차량통제 입간판만 세울 게 아니라 안전요원을 배치해 출입을 통제하거나 지하차도 입구에 차량통제 장치만 설치했더라도 사고는 막을 수 있었다.

부산도시철도의 사전, 사후 조치도 문제였다. 역이 침수돼 일부구간만 운행하던 1, 4호선은 비가 그친 뒤 2∼4시간 후 운행이 재개됐다. 하지만 2호선은 12시간이 지난 뒤에야 정상운행에 들어가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도로관리도 엉망이었다. 비가 그친 뒤 7시간이나 지난 오후 11시 동래구 온천동 동래지하철 사거리에는 내성지하차도의 차량통행이 금지돼 체증이 심했다. 양 방향으로 2km가량 차량이 밀렸지만 경찰이 배치되지 않았다. 이 시각 금정구 구서동 경부고속도로 입구와 도시고속도로(번영로) 입구는 인근 오륜터널 4개 차로 중 2개 차로가 통제돼 주차장을 방불케 했다. 동래, 금정, 기장, 연제 등의 간선도로에는 흘러내린 토사와 돌멩이, 쓰레기가 나뒹굴어 교통사고 위험이 높았다.

조복래 미래건설포럼 사무총장은 “최근 기상이변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 만큼 하천, 우·오수, 상하수도 등 도시기반시설을 이에 맞춰나가야 한다”며 “특히 원활한 배수를 위해 펌프장 추가 설치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시내버스 추락사고의 실종자 수색은 뚜렷한 성과가 없는 상태다. 버스 탑승자는 7명으로 확인됐고 실종자는 운전자를 포함해 6명이다. 해경은 선박 10여 척과 헬기, 대원 등을 동원해 진동만 일대를 수색 중이다. 경찰은 버스정보시스템(BIS) 등을 통해 사고버스가 25일 오후 2시 2분경 진동면 오산마을 정류장을 통과하고 3분 정도 지난 뒤 정기노선을 이탈한 것으로 파악했다. 오후 2시 53분엔 통신이 완전 두절됐다. 버스 사고와 관련해 일부에서는 “간선도로만 차량 통행을 제한하고 우회할 수 있는 길을 차단하지 않은 점은 아쉽다”며 “버스 추락 이후 인양장비가 늦게 도착하는 등 수습과정에도 허점이 있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조용휘 silent@donga.com·강정훈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