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조5000억 원이 투입되는 경기 북부 최대 민자사업인 ‘스마트시티’의 파주 유치가 불투명해졌다. 6월 지방선거에서 시장이 바뀌면서 파주시의 자세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사업자인 스마트시티 두바이 측은 수도권과 충남 지역의 대체 부지 물색에 나서면서 차기 후보지 선정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스마트시티 파주, 물 건너가나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기술(ICT) 같은 첨단산업과 미디어산업, 대학 등이 결집된 미래형 지식클러스터를 건설하는 두바이의 글로벌 프로젝트다. 한국은 2008년 제주 유치를 위해 제주도와 정부 차원에서 별도의 팀까지 꾸려가면서 1년여 동안 유치에 전력했지만 고배를 마셨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국영기업인 ‘스마트시티 두바이’는 2011년 12월 파주시와 협의해 경의선 월롱역과 파주역의 중간 지점에 있는 파주시 백석리 일대 125만 m²를 매입하고 ‘스마트시티 파주’를 짓기로 했다.
파주시는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에 따라 2012년 정부로부터 이 일대를 개발할 수 있도록 승인까지 받았다.
하지만 7월 취임한 이재홍 파주시장이 “사업의 타당성을 재검토한 뒤 추진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선언했다. 사업 추진을 위해 한국 유치 사업자인 게이트웨이와 파주시가 맺은 협약이 6월 만료됐고 투자유치나 실현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게 이유다.
이에 스마트시티 두바이 최고경영진은 이 시장에게 편지를 보내 스마트시티 조성에 대한 협조를 당부했다. 이어 이달 15일 한국을 직접 방문해 입주기관 유치와 관리까지 모두 책임지는 턴키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하지만 파주시는 사업을 추진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이나 금융권에서 지급보증하면 다시 논의하겠다는 자세다.
시 관계자는 “국내 부동산 환경을 감안하면 현재로서는 사업 추진이 어렵다”며 “사업 규모를 조정하거나 단계별 개발을 신중하게 고려 중이며 전문기관에 용역을 의뢰해 대체 사업을 찾을 계획이다. 정확히 언제라고는 확답할 수 없다”고 말했다.
○ 수도권, 충청권 등 대체 부지 물망
창조경제 도시의 성공사례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시티는 생산유발효과만 10조6000억 원, 고용유발효과 8만5000여 명으로 추산된다. 사업이 현실화만 된다면 ‘로또’나 다름없다.
파주 유치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스마트시티 측은 경기 동두천·포천·김포시, 충남 아산·천안, 인천경제자유구역 등을 대체 후보지로 검토하고 있다. 특히 최근 IT 기반이 좋아진 성남 판교와 고양·양주시를 직접 방문해 각 지역의 기반 시설 수준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