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곳곳에서는 올해도 다양한 가을축제를 준비하고 있다. 지난해 가을에 열린 부평풍물대축제의 풍물놀이(왼쪽 사진)와 삼랑성 역사문화축제의 산사음악회. 인천시 제공
아시아경기가 열리고 있는 인천에서 가을을 맞아 다양한 축제가 마련된다.
26, 27일 인천의 대표적 근대 유적인 동구 화도진공원(면적 2만2000m²)에서 ‘제25회 화도진축제’가 열린다. 화도진(花島鎭)은 조선 말기인 1879년 외세의 침략에 대비해 세운 인천에서 가장 오래된 군사기지.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된 역사의 현장으로 1982년 수교 100주년을 기념해 옛 모습 그대로 조성된 화도진공원은 인천시 기념물 제2호다.
‘길에서의 조우’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축제는 26일 오후 5시 구한말 고종이 어영대장(御營大將)을 인천에 내려보내 성을 쌓게 한 축성행렬 재현행사로 시작된다. 동구청에서 화도진공원에 이르는 2.5km 구간을 전통취타대와 군악 및 의장대가 음악을 연주하며 행진한다. 이어 공원에서는 인기 가수가 출연하는 개막식 축하 콘서트 및 전통 혼례식과 중요무형문화재 공연, 벼룩시장 등이 열린다. ‘화평동 냉면 빨리 먹기 대회’와 ‘송현동 순대 예쁘게 썰기 대회’ 같은 이벤트에 참가할 수 있다.
26∼28일 부평구 부평대로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 공연예술제 관광자원화 지원사업으로 선정한 ‘부평풍물대축제’를 개최한다. 이 행사에서는 국내외 52개 공연단체들이 환상적인 무대를 만든다. 일본과 대만, 리투아니아 등 3개국 초청작과 공모를 통해 선정된 27개 공식초청작, 인천무형문화재들의 11개 초청공연작이 펼쳐진다. 28일 오후 5시에는 축제에 참가하는 공연팀과 시민 등 1000여 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퍼레이드가 펼쳐진다.
27, 28일 경인전철 주안역 앞 미추홀대로에서는 주안 미디어문화축제가 펼쳐진다. 주민들이 직접 만든 프로그램인 마을극장과 마을방송, 마당극 등이 무대에 오른다. 27일 영화음악 콘서트가, 28일 인기가수가 공연하는 인천시민음악회가 열린다. 또 마을공동체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중요무형문화재인 ‘서해안 대동굿’ 등을 선보인다. 축제 기간 영화공간 주안에서 ‘안녕 오케스트라’ 등 영화 4편을 무료로 상영한다.
1920∼40년대 일제강점기에 건축된 다양한 건축양식의 건물이 몰려 있어 개항 당시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중구 자유공원 일대에서는 ‘인천 근대 개항거리 문화축제’가 열린다. 27일 인천연극협회와 인천무용협회, 인천영화인협회 소속 예술가들이 함께 만든 창작무용극인 ‘타임머신을 타고 온 소서노’를 공연한다. 일본과 필리핀, 러시아, 멕시코 등의 전통문화공연도 볼 수 있다. 28일 중요무형문화재 제61호인 은율탈춤을 보여주는 ‘개항과 함께하는 우리 문화’를 감상할 수 있다. 축제 기간에 ‘개항기 근대건축물 사진전’과 개항장 주변 공방 및 상점이 참여하는 ‘개항장 아트 프로젝트’ 등과 같은 이벤트를 진행한다.
서구 수도권매립지 내 녹색바이오단지에서는 녹청자축제가 열린다. 매립지에서 가까운 경서동 도요지 일대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서민들이 주로 사용하던 접시, 그릇 등 녹갈색 청자를 전시하며 직접 도자기를 빚어 볼 수 있다.
다음 달 5일까지 강화군 전등사 일대에서 진행되는 삼랑성(三郞城) 역사문화축제는 19일부터 시작됐다. 단군의 세 아들 부여 부우 부소가 쌓은 것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이 성은 1866년 병인양요 당시 조선군이 300여 명의 포수를 나눠 배치해 프랑스군의 공격을 막았다. 현대미술 중견작가전과 시화전, 사찰 사진전 등 다양한 전시회와 산사음악회(27일)가 열린다. 28일 전등사를 지켜 온 스님들을 위한 ‘다례재’와 호국영령을 기리는 ‘영산대재’를 연다.
다음 달 4일 아시아경기가 끝난 뒤의 허전함은 소래포구축제로 달래면 된다. 10월 10∼12일 남동구 소래포구와 소래습지생태공원 일대에서 서해안풍어제를 시작으로 열리며 소래 3일장, 맨손으로 꽃게 및 전어잡기 대회와 어죽 시식회 등에 참가할 수 있다. 특산물 판매장에서 싱싱한 수산물을 즉석 경매를 통해 싸게 구입할 수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