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강남구가 구룡마을 개발 방식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강남구민들 사이에서는 토지로 일부를 보상하는 ‘환지방식’과 현금으로만 보상하는 ‘수용방식’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각각 40.3%와 39.3%로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서울시의회는 9월 12∼14일 서울시민 1000명(개포1동 주민 100명, 강남구민 200명 포함)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서울시민 전체로는 토지 환지방식(46.3%)이 현금 수용방식(33.3%)을 13%포인트 앞섰다.
개발구역에서 해제된 구룡마을이 다시 개발돼야 한다는 데 강남구민 55%가 찬성했다. 다만 주거권과 공익 보호를 고려한 점진적인 추진이 바람직하다(57.2%)고 답했다. 개발방식으로는 공영개발(51.3%)을 가장 선호해 서울시민 전체 응답(42.2%)보다 높았다.
이번 조사를 의뢰한 김현기 서울시의원은 “서울시와 강남구 간 갈등으로 구룡마을 주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어 직접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것”이라며 “설문조사 결과 강남구민들은 서울시와 강남구 간 갈등 조정기구 설치를 요구하고 있는 만큼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구룡마을은 2012년 서울시가 사업 부담을 이유로 개발방식을 수용방식에서 환지방식으로 바꾸면서 강남구와 대립해왔고 8월 4일자로 도시개발구역 지정이 해제돼 사업이 아예 중단된 상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