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장성도 눈감은 고속단정 납품비리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1월 13일 03시 00분


방사청 직원 등 돈-재취업에 홀려 중고 부품 묵인… 엔진 화재사고도 은폐
납품업체, 군 관계자 포섭… 불량 부품 들어간 배 5척 넘겨
경찰, 17명 입건… 11명 혐의 軍통보… 해군 “일부 사실 달라… 법적대응”

2012년 2월 동해 해상 침투훈련에 투입된 해군 고속단정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엔진에서 시작된 불은 선체로 번졌고 배 위에서 훈련하던 특수전단 요원 10여 명은 불을 피해 바다로 몸을 던졌다. 구조를 위해 해군 예인선이 출동할 정도로 상황이 긴박했지만 이 화재사고는 군 내부에 단순 냉각기 고장으로 보고됐다. 같은 해 9월 경기 평택시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고속단정 화재도 마찬가지였다.

해군에서 이런 사고와 은폐가 발생한 것은 납품비리 때문이었다. 2009년부터 해군에 고속단정 13척을 납품해온 W업체는 수익을 높이기 위해 중고, 불량 부품이 들어간 배 5척을 군에 넘겼다. 방위사업청, 국방기술품질원, 해군을 거치는 납품 절차에서도 비리가 가능했던 것은 W업체의 부당거래 때문이었다. W업체 대표 김모 씨(61)는 퇴직 후 재취업을 미끼로 군과 방위사업청 관계자를 포섭했다. 2011년 7월 해군에서 퇴직한 후 입사한 이모 씨(54)를 통해 군과 국방기술품질원 관계자 5명에게 불량 부품 납품을 눈감아 달라며 뇌물 3500만 원을 건넸다. 현역 해군 준장 김모 씨(56)는 화재로 손실된 엔진 4대를 구매할 때 W업체 이 씨의 부탁을 받고 경쟁 입찰 규정을 무시한 채 수의계약으로 4억7000만 원에 W업체의 제품을 샀다.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업체, 방위사업청, 국방기술품질원 관계자, 전직 군인 등 17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사기, 뇌물공여 혐의로 다음 주 김 씨의 구속영장을 청구할 예정이다. 직무유기 혐의를 받고 있는 김 준장을 비롯한 현역 해군 11명(직무유기, 직권남용 등 혐의)의 혐의 내용을 국방부 조사본부에 통보할 계획이다.

해군 관계자는 “경찰에서 밝힌 일부 장교의 비리는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어 법적 대응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강홍구 windup@donga.com·정성택 기자
#해군#납품비리#방사청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6

추천 많은 댓글

  • 2014-11-13 05:38:26

    정말 육해공군 해 이러나요, 부정과 비리가 없는 곳이 없군요, 이젠 정말로 국민들의 마음에서 군은 떠났습니다. 아울러 군을 신뢰할 수가 없고 존경할 수가 없습니다. 반면 불철주야 고생하는 장병들의 마음도 식상할 것입니다. 제발 존경 받을수 있는 군이 되어주소서...

  • 2014-11-13 06:22:04

    군의 생명인 무기 구입 부정 비리에 연루된 자는 김정일에게 나라를 파는 매국행위보다 더욱 흉악한 범죄이다.정부 감독기관은 엄중한 처벌로 재발을 막아 군의 막강한 무기관리가 되어야만 국민들은 안심하고 생활한다.

  • 2014-11-13 10:24:45

    도대체 자기가 달고 있는별의 가치를 알고 해군제독의 의무를 하는지? 불량품으로 대치된 고속단정을 이별단놈을 태워서 망망대해로 내보내라. 별 달았스니 아무일 없이 정은이 해군이 구해줄거다. 자식과 마누라에 민망한마음 없냐? 육군 해군 공군 모두 무엇하는 기과이냐?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