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명 경찰청장의 취임 일성이었던 ‘동네조폭’ 단속이 100일을 맞았다. 경찰은 그동안 방치되어 있던 치안 사각지대를 없앴다고 자평했다.
경찰청은 9월 2일부터 이달 11일까지 동네조폭 100일 특별단속을 실시한 결과 총 1만2735건의 범죄를 수사해 3136명을 입건하고 그 중 960명을 구속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기간 경찰은 전국 435개 팀 2078명의 전담 수사팀을 꾸려 동네조폭 단속에 나섰다.
동네조폭은 기존 조직폭력배와 달리 특정 조직을 만들지 않지만, 지역 음식점이나 노래방 등 소규모 업소를 돌면서 돈을 뜯거나 무전취식하는 사람을 뜻한다. 피해 금액이 적은데다 지역 영세 자영업자들의 약점을 잘 알고 있어 그동안 경찰 신고가 거의 접수되지 않았다.
이 기간 동안 적발된 동네조폭 사례는 다양했다. 경남 창원에서는 4년 넘게 식당과 주유소, 세차장 등을 돌면서 “여기 물건을 팔아주는 사람은 3년 안에 사고로 죽는다”라며 영업을 방해한 속칭 ‘욕쟁이 할머니’ A 씨(72·여)가 구속됐다. 부산에서는 2012년 10월부터 부산종합터미널 앞을 지나가는 승객들에게 “술값을 달라”며 욕설하고, 주위 상가의 영업을 방해하던 B 씨(57)가 구속되기도 했다. 100일 동안 동네조폭이 저지른 범죄를 살펴보면 업무방해(4487건·35.2%)가 가장 많았고 이어 갈취(4143건·32.5%) 폭력(2068건·16.3%) 협박(1114건·8.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강 청장이 9월 “동네 조폭에 대한 집중 단속을 시작한다”고 선언한 이후, 동네조폭의 구속 비율은 크게 늘었다. 검거인 대비 구속률이 30.6%에 달하며 100일 동안 하루에 약 10명이 구속됐다. 이는 일반 폭력사범 구속률(0.68%)에 비해 크게 높은 수치다.
경찰은 이 부분을 ‘공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그동안 사소한 범죄라고 생각해 대부분 불구속이나 현장 계도에 그치던 행동을 적극적으로 처벌해 바로잡은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시민단체 등에서는 “닭 잡는 데 소 잡는 칼을 썼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한 인권단체 관계자는 “업무방해 등에 모두 구속영장을 신청한다면 단기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는 있어도 오히려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재명 기자 jmpark@donga.com
좋아요
1개
슬퍼요
1개
화나요
0개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2014-12-17 15:19:09
경찰은"인권단체"이들의 말 듣지말길바란다.지네들이 사회를 어지렆히는 동물들이니까 우려를 표한다.절대속지말고 강력한단속과 구속을 원칙으로 할때 모든국민들이 박수를 보낸다.경찰화이팅!
2014-12-17 12:51:03
사소한 범죄 도로주변 통행방해를 하며 점용하는 것 무단주정차 따위를 확실하게 단속하는 것은 국민준법정신함양에 아주 중요하다 이젠 외국처럼 경찰이 아닌 이런것들만 단속하는 하청회사를 만들어 많은 사람들을 취직시켜야 할 것이다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2014-12-17 15:19:09
경찰은"인권단체"이들의 말 듣지말길바란다.지네들이 사회를 어지렆히는 동물들이니까 우려를 표한다.절대속지말고 강력한단속과 구속을 원칙으로 할때 모든국민들이 박수를 보낸다.경찰화이팅!
2014-12-17 12:51:03
사소한 범죄 도로주변 통행방해를 하며 점용하는 것 무단주정차 따위를 확실하게 단속하는 것은 국민준법정신함양에 아주 중요하다 이젠 외국처럼 경찰이 아닌 이런것들만 단속하는 하청회사를 만들어 많은 사람들을 취직시켜야 할 것이다
2014-12-17 16:58:26
청장님 전국 조폭은 왜 안잡는가여. 조폭과 전쟁을 해 그 뿌리를 뽑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