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신체는 시간이 흐를수록 기능이 떨어지도록 설계돼 있다. 그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더 많은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노인들의 상황은 사뭇 다르다.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한 70대 노인들이 60대보다 건강에 무관심한 편이다.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2011년 고령자통계 등에 따르면 필요한 치료를 제대로 받지 않는 노인의 비율(미치료율)은 70대가 18.3%로 60대(13.2%)의 약 1.5배다. 건강검진을 받는 비율도 70대(75∼79세·79.9%)가 60대(65∼69세·87.1%)에 비해 낮다.
신체 기능이 동년배에 비해 더 떨어져 혼자 생활하기 어려운 노인들의 상황도 비슷하다. 가족 또는 요양기관의 도움이 필요한 노인들이 적절한 지원을 받는지를 측정하는 수발률은 60대는 77.9%에 이르지만 70대(70∼74세)엔 67%로 감소했다.
○ 건강관리 포기하는 70대들
서울 성북구에 사는 김경자(가명·77) 씨의 사례는 건강관리를 포기하는 70대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김 씨는 10년 전 남편을 떠나보낸 뒤 온몸이 아팠다. 남편을 간호할 땐 ‘내가 무너지면 안 돼’라며 버텼는데 지금은 맥이 풀렸기 때문이다. 빈혈 증세로 자리에 주저앉는 일이 잦았고 허리와 무릎 통증, 왼쪽 눈의 염증도 심했다.
하지만 김 씨는 경제 여건 때문에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했다. 동네 이웃들은 구청의 사회복지과라도 찾아가라고 했지만 “늙으면 아픈 게 당연하지…”라며 체념했다. 사실상 건강관리를 포기한 김 씨의 상태는 점점 나빠졌다. 염증이 심했던 왼쪽 눈은 2007년 실명에 이르렀고 오른쪽 눈마저 시야가 흐려지기 시작했다. 눈이 불편해지면서 주 2∼3회 나서던 폐지 수집과 바느질도 못 했다. 집에 머물며 TV만 켜 둔 채 멍한 상태로 지내는 시간이 늘어 갔다. 좁은 방에서 움직이지도 않고 지내다 보니 관절염도 더 악화됐다.
김 씨는 지난해 10월 뒤늦게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을 얻어 병원에 정기적으로 다닐 수 있게 됐다.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치료 항목 내에서는 무료 진료를 받게 된 것. 하지만 상태는 심각했다. 오른쪽 눈은 백내장이 심해 시야가 흐려졌다. 근육량과 관절 기능이 떨어져 몸의 움직임도 현격하게 떨어진 상태다. 김 씨는 “포기하지 않고 병원에 갈 방법을 조금 더 빨리 찾아볼걸” 하며 후회했다.
오상우 동국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고령자들이 건강관리를 포기하는 가장 큰 이유는 노인 빈곤이다”라고 전제하면서도 “하지만 의료비 지원 등 복지 시스템이 자리를 잡으면서 빈곤 노인도 일정 수준 이상의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있는데도 ‘살 만큼 살았다’며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고 지적했다. ○ 70대, 포기하기엔 이르다
전문가들은 70세 이상 노인이라도 운동을 하면서 활기차게 생활하면 심장병과 폐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노인병학회 노인증후군연구회가 국내외 논문들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심폐 기능이 좋지 않은 70∼82세 노인이 포기하지 않고 적절한 운동을 계속할 경우 심장 및 폐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을 최소 36%에서 최대 52%까지 낮출 수 있다. 반대로 평소 심장과 폐 기능이 정상인 건강 노인도 운동을 꺼리고 정적인 좌식 생활을 계속하면 사망할 위험이 최대 1.9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준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내과 교수는 “인간의 심장과 폐가 70대를 지나면 진화보다는 퇴화만 한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이는 잘못된 상식이다”고 말했다.
노인 건강 전문가들은 100세 건강을 위해서는 70대 이후의 삶의 태도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신체 기능 저하를 모두 막을 수는 없지만 이를 체념할 경우 노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른바 신체 기능 저하로 나타나는 1차 노화를 넘어 ‘자신이 늙었다’라는 것을 인지하면서 시작되는 2차 노화를 경계해야 한다는 얘기다. 예컨대 70대가 되면 신경 반응 속도가 떨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겁을 먹고 운전 같은 활동을 그만두면 반응 속도는 더 떨어질 수 있다.
○ 노인 건강 정책 70대에 초점 맞춰야
전문가들은 연령대별 맞춤형 노인 건강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만 65세 이상 노인 전체에게 동일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얘기다.
60대와 70대의 신체 기능과 질병의 발현 양상은 다르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70대는 3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이 동시에 찾아오는 다질환자가 급증하는 시기다. 60대에 비해 만성질환을 2가지 가진 사람은 오히려 줄어들고 3가지 이상을 함께 앓는 환자가 부쩍 늘어난다. 신체적으로는 70대의 경우 골밀도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낙상 사고도 급증한다. 65∼69세의 낙상 경험률은 16.7%에 불과하지만 75∼79세는 1.5배(25.1%)나 된다. 70대의 정신건강도 위험 수준이다. 70대(75∼79세) 노인 중 우울증을 겪는 비율은 35.7%로 60대(65∼69세·19.1%)의 2배에 육박한다. 자살률도 마찬가지다.
노용균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지금까지 노인 건강 정책을 만드는 사람들과 의학계의 관심은 5060세대에 집중됐으며 70대 이상 노인은 상대적으로 소외됐다”며 “100세 시대를 위해서는 보건의료 정책의 패러다임을 70대 쪽으로 이동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