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동서남북]‘제식구 감싸기’ 비난 자초한 부산경찰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월 22일 03시 00분


강성명·사회부
강성명·사회부
2012년 10월 18일 부산지방경찰청 국정감사장. 이성한 당시 부산경찰청장이 의원들의 질타에 고개를 숙였다. 직원들의 대리 사격이 들통 났기 때문이다. 연루된 직원은 무려 82명이다. 당시 이 청장은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겠다”고 수차례 약속했다. 그러나 부산경찰청장의 약속은 불과 2년도 안 돼 깨졌다. 지난해 9월 부산지역 경찰관 12명이 또다시 대리 사격을 한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시민들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그동안 눈감아 주고 넘어간 것이 더 많지 않겠느냐” “범인 검거 현장에서 제대로 총을 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는 등 비판이 쏟아졌다.

청장의 공식 사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는 것이 현장의 평가다. “국감 이후에도 사격 평가 때면 늘 분위기가 어수선했다” “사격 평가를 통제하는 경무과 직원의 점수가 높은 것 같다”는 불신 섞인 의견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부산경찰청은 △사격 평가자 간 조끼 색깔 구별 △등번호 크기 확대 등의 개선 사항을 경찰청에 건의할 방침이다. 또 경찰서 경무과·감찰과 직원의 평가를 지방청에서 합동으로 진행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해 보인다. 이번 대리 사격 적발도 한 통의 투서에서 시작됐다. 평가 때 타 경찰서 직원을 배치하거나 지방청 직원을 사전 예고 없이 파견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비리 연루자를 중징계하는 것도 방법이다. 이런 비리는 명백한 고의인 만큼 선처의 여지가 없으므로 높은 수위의 징계가 확실한 예방책이 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경찰 스스로 높은 준법 의식을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최근 권기선 부산경찰청장의 폭언 사태는 씁쓸한 뒷맛을 남겼다. 구두경고에 그치면서 ‘제 식구 감싸기’ 비난을 자초했다. 이런 처사가 조직 전체의 기강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강성명·사회부 smkang@donga.com
#부산경찰#대리 사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