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오후 2시 25분께 맹수마을 사자 방사장에서 사육사 김모 씨(52)가 온몸에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는 것을 동료 직원 이모 씨가 발견했다.
김 씨는 구조 당시 이미 심정지 상태였고 인근 건국대병원으로 옮겨져 심폐소생술을 받았지만 결국 숨졌다.
검안 결과 김 씨의 우측 목과 양다리에 사자에게 심하게 물린 외상이 발견됐고 과다출혈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동료 직원이 쓰러진 김 씨를 발견할 당시 방사장에는 대공원에서 자체 증식한 수사자(9년생)와 암사자(5년생) 두 마리(사진)가 쓰러진 김 씨 주위를 서성이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날 사고는 오후 1시 반 대공원이 사자 등 맹수를 상대로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직후에 일어났으며, 한 달에 2,
3차례씩 맹수의 야성을 살리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는 이 프로그램은 종이 장난감이나 고깃덩어리로 사자를 유인해 움직임과 흥미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약 20분간 진행된다.
대공원 측은 프로그램을 끝낸 뒤 사육사 김 씨가 방사장을 정리하기 위해
우리에 들어갔다가 변을 당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재용 어린이대공원 동물복지팀장은 “사자들이 들어가 있어야 할 내실 문 4개 중
가장 좌측 문이 열려 있었다”고 밝혔다.
경찰이 어린이대공원 맹수마을 사자사 내실을 비추는 폐쇄회로(CC)TV를 분석한 결과 사육사가 사고를 당하기 전 내실에는 사자 두 마리의 모습만 희미하게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경찰은 사고 당시 방사장과 격리된 내실에 있어야 할 사자들이 방사장에 있었던 점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