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아시아문화전당을 문화예술의 명소로 만들자”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3월 5일 03시 00분


‘아특법’ 통과후 개관준비 본격화… 7월 하계U대회 맞춰 임시 개관
광주시, 대책팀 구성 신속지원키로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터에 지어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물 95% 이상은 최고 25m 깊이 지하에 자리하고있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지원 특별법이 개정됨에 따라 문화전당 조직 신설 등 개관 준비도 본격화하고 있다. 아시아문화개발원 제공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터에 지어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물 95% 이상은 최고 25m 깊이 지하에 자리하고있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지원 특별법이 개정됨에 따라 문화전당 조직 신설 등 개관 준비도 본격화하고 있다. 아시아문화개발원 제공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운영을 위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지원 특별법(아특법)’이 개정됨에 따라 문화전당 조직 신설 등 개관 준비가 본격화하게 됐다.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아문단)은 아특법이 개정됨에 따라 이달 내에 문화전당 신설조직 자료를 만들어 행정자치부, 기획재정부와 논의할 방침이라고 4일 밝혔다. 문체부는 개정법에 따라 다음 달까지 문화전당 조직을 확정한 뒤 5월 직원을 채용할 방침이다.

3일 국회를 통과한 아특법은 문화전당을 문체부 기관으로 두고 5년 뒤 성과평가를 거쳐 법인, 단체에 위탁 경영하도록 하고 있다. 아특법은 또 ‘정부는 문화전당 재정지원을 한다’ ‘공적개발원조(ODA) 일부를 문화전당에 지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문화전당 조직은 국가 소속 기관인 만큼 공무원들이 참여하게 된다. 참여하는 공무원 조직은 문화전당 운영에 필요한 인원 423명(비정규직 200명 미포함) 가운데 일부에 그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문체부 전체 직원이 660여 명밖에 되지 않는 상황에서 문화전당 조직에 많은 공무원을 배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공무원을 제외한 일부 인력은 문체부 소속 기관인 아시아문화개발원이 청산 또는 해산 절차를 거친 뒤 새로 만들어지는 아시아문화원에서 보충되고 일부 인력은 신규 채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전당 조직은 공무원, 일반·전문 계약직, 전문가가 참여하는 형태로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문화전당 5개원 가운데 예술극장, 어린이문화원같이 대중성 확보가 가능한 곳은 문화전당 조직이 아닌 아시아문화원에 위탁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 대신 민주평화교류원, 문화정보원, 문화창조원 등 3개원은 문화전당 조직에서 운영할 가능성이 있다. 아문단의 한 관계자는 “기재부 등과 논의를 시작하는 단계라서 조직 규모, 공무원 수 등은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박혜자 의원 등 광주·전남지역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은 정부의 문화전당 신설조직 체계 등을 관심을 갖고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자리에 있는 문화전당(총면적 16만1237m²)은 7월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 기간에 임시 개관한 뒤 9월 4일 정식 개관한다. 문체부는 올해 문화전당 예산으로 콘텐츠 비용 460억 원, 조직운영 예산 342억 원 등 총 803억 원을 확보했다.

하지만 문화전당 조직 결성이 5월경 끝나면 임시 개관까지 2개월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어서 콘텐츠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지역에서는 또 아특법이 개정된 만큼 문화전당도 장단기 숙제를 안게 됐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문화전당은 단기적으로 전문적 운영 인력 확보, 장기적으로 국제적 문화콘텐츠 창작이라는 숙제를 풀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확실한 문화 콘텐츠 개발로 정부에 안정적 재원 확보를 요청하고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류재한 전남대 불어불문학과 교수는 “창의적이고 국제적인 문화콘텐츠 개발이 있어야 장기적으로 정부에 문화로또복권 발행이나 대기업의 문화메세나운동, 기금 마련 등의 형태로 재정 확보 방안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체부, 광주에 문화벨트를 만드는 아문단, 문화전당 신설조직, 아시아문화원 등 4개 기관의 업무가 일부 겹쳐 ‘옥상옥(屋上屋)’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편 광주시는 문화전당의 성공적인 개관을 위해 교통, 문화, 숙박 등 관련 부서가 참여하는 대책팀(TF)을 운영하고 문체부, 전남도와 매월 회의를 열어 신속한 지원 시스템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문화전당 주변 예술의 거리, 대인예술야시장, 양림동, 사직공원 등을 걸어서 관광하는 도심 트레일 코스로 활용하기로 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