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해함 부품도 불량… 제2 통영함 비리 조짐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3월 21일 03시 00분


음파탐지기 등 부실납품 1361억… 전력화 1∼3년 지연 불가피할듯

기뢰 제거 임무를 맡고 있는 소해함인 옹진함의 모습. 동아일보DB
기뢰 제거 임무를 맡고 있는 소해함인 옹진함의 모습. 동아일보DB
대표적인 방위사업 납품 비리 사례로 꼽히는 해군 통영함에 이어 통영함과 같은 부품을 사용한 소해함 건조 사업도 부실로 드러났다. 소해함 건조 사업에서 드러난 부실 납품 규모가 1361억 원에 달함에 따라 제2의 통영함 비리로 번지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방위사업청은 통영함 납품 비리와 같은 선체 고정 음파탐지기(HMS) 제품이 들어가는 소해함을 자체 정밀 점검한 결과 HMS가 요구 성능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20일 밝혔다. 방사청은 지난해 10월 통영함의 HMS 부실 납품 문제가 불거진 뒤 같은 제품을 사용해 건조하는 2차 소해함 사업에 대해 지난달부터 한 달간 점검을 벌였다.

소해함(700t급)은 기뢰를 제거함으로써 주요 항만과 해상교통로를 보호하는 함정이다. 그런 만큼 구조함인 통영함과 달리 기뢰 탐지를 위한 음파탐지기와 기뢰 제거 장비는 핵심 장비에 해당한다. 방사청은 2010년부터 4892억 원을 들여 소해함 보강 사업을 진행 중이지만 부실로 드러나 전력화 지연이 불가피해졌다. 현재 해군이 운용하는 700t급 소해함은 3척이다.

예인 음파탐지기의 성능도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소해함 장비 2종도 사업 담당자가 제품을 납품받기 전에 시험성적서를 제출받아 성능을 확인하는 절차 없이 장비를 인수한 것으로 드러났다.

방사청은 현재 소해함 2차 사업에서 문제가 된 납품 계약을 해지하고 새로운 구매 계약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현재 건조 중인 소해함 전력화 시기도 당초 올해 8월 말에서 1∼3년 지연될 것으로 전망된다.

방사청 관계자는 “올 2월 23일부터 감사원이 해상 전력 전반에 대해 감사를 진행 중이다. 방사청도 자체 점검한 결과를 감사원에 참고용으로 제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성택 기자 neone@donga.com
#소해함#비리#통영함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0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 2015-03-21 21:08:50

    국군의 신뢰가 떨어지면 이나라는 끝장난다.특히 국방부는 각성하여 현역연루자들에게 군법상 사형으로 처단,근절시켜야한다.적화의 그날에 모두 집단총살되고 싶지않다면 당장 비리자 처단하고 국가안보를 지켜라!적화되면 캄보디아의 킬링필드 이상의 살인광란극이 벌어질것이다.

  • 2015-03-21 21:01:42

    여당은 모든 방산 비리자들을 사형에 처하는 특별법을 만들어 이나라 안보를 튼튼히 하라!죄의 경중,대상자의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모든 연루자들은 교수형시키는 특별법이 아니고서는 방산 비리를 근절치 못한다.마치 썩은 장개석 군대를 보는듯 하다.

  • 2015-03-21 16:14:56

    사형제도가 필요한이유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