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해준 교통안전공단 노원검사소장(왼쪽)이 25일 서울 노원구 교통안전공단 노원검사소에서 권오혁 기자와 함께 카셰어링 차량 상태를
살펴보고 있다. 이날 점검한 차량들은 3대 중 1대의 타이어 마모가 심각하고 타이어 옆면이 일부 파손돼 시급히 교체가 필요한
상태였다. 김미옥 기자 salt@donga.com
#1. 지난해 11월 운전자 A 씨는 한 민간 업체의 카셰어링(시간제 렌터카) 서비스를 예약했다. 서비스 첫날 급한 사정이 생긴 A 씨는 취소하기 위해 고객센터에 연락했다. 24시간 운영이라는 고객센터는 하루 종일 불통이었다. 다음 날 오전에야 통화가 돼 자초지종을 설명하고 환급을 요구했지만 “담당자를 연결해 주겠다”는 말만 들었고 다시 연락이 끊겼다. 결국 예약했던 사흘간의 서비스 기간이 지난 뒤 담당자는 전화를 걸어와 “환급이 어렵다”고 답변했다.
#2. 운전자 B 씨는 지난해 말 카셰어링 차량을 이용하다 갑자기 타이어가 펑크 나는 사고를 당했다. B 씨는 긴급 출동 서비스로 타이어를 교체한 뒤 차량을 반납했다. 그런데 한 달 뒤 카셰어링 업체는 타이어 휠 교체 등 견적서를 B 씨에게 제시하며 34만1500원을 청구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시 나눔카(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카셰어링 브랜드) 하루 평균 이용 건수는 3026건으로 2013년 같은 기간(718건)에 비해 4.2배 증가했다. 국내 최대 카셰어링 업체인 쏘카의 보유 차량은 2013년 400대에서 1년 만에 1800대까지 늘어났고 3월 현재 약 2100대에 이른다. 이처럼 카셰어링 이용이 활발해지면서 업체들의 부실한 차량 관리 및 서비스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는 고객도 늘고 있다.
카셰어링은 차량 대여 및 반납이 무인 시스템으로 이뤄지는 만큼 편리하지만 차량 관리는 일반 렌터카에 비해 부족한 점이 많다. 서울 지역에만 주차장 912곳에 차량 1922대가 분산돼 있다 보니 업체들도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차량 렌트와 관련된 피해 구제 접수는 219건으로 2013년 131건에 비해 67.2% 늘었다. 대부분 서비스 불편을 지적하는 내용이다.
본보 취재팀이 25일 카셰어링 업체 3곳의 차량 3대를 대여해 전문가와 함께 차량 상태를 살펴본 결과 1대의 앞 타이어가 공기압이 낮고 마모가 심각했다. 특히 타이어 옆면에 3cm 정도 깊게 찢어진 부위가 발견돼 반드시 교체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박해준 교통안전공단 노원검사소장은 “타이어가 파손된 상태로 고속 주행을 할 경우 타이어가 터질 우려가 있으니 반드시 이용 전에 타이어 상태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러 사람이 같이 쓰는 만큼 운전자들의 매너도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 카셰어링 업체 관계자는 “차량 내에서는 반드시 금연하고 이용한 뒤 쓰레기는 치워 줄 것을 고객들에게 안내하지만 많은 운전자들이 지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황기연 홍익대 도시공학과 교수(카셰어링포럼 공동의장)는 “카셰어링 제도가 정착하려면 이용자들이 차를 스스로 관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이용 전에 자신이 쓸 차의 상태를 살피고 직전 사용자를 평가하는 시스템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