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규 조달청장은 22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소프트웨어 사업 발주자의 ‘횡포’를 막는 일은 궁극적으로 소프트웨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조달청 제공
취임 이후 공공소프트웨어 제값 주기에 관심을 쏟아 온 김상규 조달청장(54)은 22일 “공공시장이 선도적으로 ‘소프트웨어 제값 주기’를 추진해야 이 분야의 국제적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며 “소프트웨어업계가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정부기관이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김 청장은 소프트웨어 산업이 한국의 미래를 책임질 대표적 성장동력이라고 믿고 있다. 소프트웨어 산업의 부가가치율은 48.7%로 제조업(21.1%)의 2.3배에 이르고,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취업 유발계수도 12.5명으로 제조업(9명)의 1.4배에 이른다.
그는 “소프트웨어 산업이 갖는 위상과 현실이 너무 달라 우수 인재들이 이 분야로의 진출을 꺼리고 있다”며 “발주기관의 부당한 요구와 가격 후려치기, 잦은 과업 변경과 부당 하도급 등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 청장은 “조달청이 구원투수로 나서 발주기관의 갑질을 막는 ‘분리 발주’를 시행하는 게 해법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 청장은 “이번에 시범 사업을 통해 관련 규정 정비와 소프트웨어 사업자 간 역할 분담, 사업의 효과성 등을 면밀히 검토해 분할발주 제도를 조기에 정착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