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A 경비속 농사짓는 주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경비대대 대원들이 비무장지대(DMZ)에 있는 경기 파주시 군내면 대성동 마을 인근 밭에서 일하는 주민을 경호하고 있다. 파주=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99.8m 높이 국기게양대 위 태극기가 휘날리고 자로 그은 듯한 바둑판무늬로 길이 나 있는 마을. ‘자유의 마을’로 불리지만 국제연합군사령관 관할 지역으로 집을 나설 때나 들어갈 때나 검문을 통과해야 하는 마을. 바로 경기 파주시 군내면 대성동 마을이다. 1953년 체결된 정전협정에 따라 비무장지대(DMZ) 안에 남한과 북한이 각각 민간인 거주지를 1곳씩 조성해 ‘평화의 마을’이라고 불렀다. 북측의 기정동 마을과 마주 보고 있다.
이런 특수한 상황 때문에 날로 쇠락해 가던 대성동 마을에서 작은 실험이 시작됐다. 행정자치부, 경기 파주시, 민간전문가, 주민협의체까지 한자리에 모여 체제 선전을 위해 조성된 전시 마을을 주민의 진짜 삶의 터전으로 바꾸기로 했다. 이른바 ‘통일맞이 첫 마을’ 프로젝트다.
49가구 207명이 옹기종기 모여 사는 대성동 마을은 남북 대치 상황에서 긴장이 고조됐을 때 오히려 발전했다. 남북 체제 경쟁이 치열했던 당시 △1972년의 1차 종합개발사업 △1980년의 2차 종합개발사업을 거치면서 도로·상하수도와 같은 인프라가 크게 개선됐다.
이후 35년간 마을 모습은 그대로다. 주택 대부분이 슬레이트 지붕이다. 너무 낡아 붕괴 위험도 있다. 단열이 안 돼 겨울에는 춥고 여름에는 덥다. 주거의 질은 갈수록 열악해졌고 하나둘 떠나가는 주민이 생겨났다. 남은 주민은 “사명감으로 산다” “대를 이어 살다 보니 갈 곳이 없다”고 호소한다.
김명선 행자부 지역발전과장은 “고립된 마을에서 버텨 준 주민들을 돕기로 했지만 과거와 같은 대대적인 종합개발은 어려웠다. 시대 변화에도 맞지 않다”며 민관이 함께 마을 만들기에 나선 배경을 설명했다.
최근 대성동 마을은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의 ‘취약지구 생활여건 개선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3년간 26억 원을 지원받아 노후 주택을 보수하고 상하수도를 정비한다. 경기 파주시의 지원으로 현재 비어 있는 공회당을 대성동 마을의 역사를 담은 마을기록 전시관으로 리모델링한다. 여느 마을에 있지만 대성동 마을에는 없는 작은 공원이나 꽃길도 만든다. 이를 통해 마을 공동체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고립된 섬처럼 외부와 단절된 채 살아온 주민들은 마을을 사람이 사는 진짜 거주지로 바꾸고 싶어 한다. 주 생산물인 쌀과 콩을 지역 특산물로 만들고 관광객을 늘리는 방법도 고민 중이다. 누구나 대성동 마을 발전 아이디어를 내거나 성금을 기부할 수 있도록 DMZ 홈페이지(dmz.go.kr)도 개방했다.
‘통일맞이 첫 마을’ 프로젝트 자문단장인 정진국 한양대 건축공학부 교수는 “인위적으로 ‘잘 살고 있다’고 보여주는 마을이 아니라 주민들이 뿌리 내리고 ‘진짜 살고 있다’고 느끼는 마을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누구나 행복한 마을이라고 느끼도록 가꾸고 싶다”고 말했다.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2015-05-04 06:44:38
통일은 물건너 갔다 돈이나 처 발라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