光州서구 주민자치위원장 등 50여명… “노조 고발-행정단속 불복 등 논의”
공무원노조 “사유재산권 침해” 반발
광주 서구 주민 대표들이 11일 공무원 노조의 성과상여금 재분배 관행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2000년부터 시행된 공직사회 성과상여금 문제에 대해 노사가 대립한 적은 있었지만 주민들이 직접 나선 건 처음이다.
광주 서구 18개 동 주민자치위원장 등 50여 명은 이날 오후 2시 광주시의회 기자실에서 ‘노조의 성과상여금 나눠 먹기 중단’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성과상여금은 공직 사회 경쟁력 제고와 일하는 분위기 조성을 위한 제도인데 노조가 성과상여금을 재분배하는 것은 법규를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형순태 동림동 주민자치위원장(62)은 “전국 지자체에서 노조의 성과상여금 재분배가 관행화돼 있는 것 같은데 지자체장이 선거 때문에 개선을 못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갈등은 지난달 31일 광주 서구(구청장 임우진)가 5급 이하 직원 759명을 4등급으로 나눠 성과상여금 21억7212만 원을 차등 지급하면서 시작됐다. 노조는 기존 방식대로 성과상여금 등급별 분배 명단을 달라고 요청했으나 임 구청장은 거부했다. 이후 양측은 지난달 2일부터 성명서 발표, 토론회 등을 통한 공방을 벌였다. 또 노조는 지난달 17일부터 서구청과 구청장 집 앞에서 집회를 이어 갔다. 양측의 갈등이 지속되자 주민들이 그동안 두 차례 중재에 나섰지만 실패했다. 이에 18개 동 주민자치위원장은 14일 회의를 열고 성과상여금을 재분배한 노조를 수사기관에 고발하는 방안, 행정단속 불복운동 전개, 동사무소에 현수막 부착 등을 논의키로 했다. 또 주민자치위원 487명의 서명을 받아 “내년 성과상여금 예산을 확보하지 마라”라는 청원을 서구 의회에 제출키로 했다.
반면 노조 측은 이 같은 주민들 행보의 순수성을 의심하고 있다. 노조는 조만간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 홍보 활동을 해 나가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노조 관계자는 “직원들이 통장에 입금된 성과상여금을 자발적으로 내는 것을 규제하는 것은 사유재산권 침해”라고 주장했다. 이에 민태홍 광주 서구 주민자치위원협의회장(58) 등은 “노사 문제에는 관여하고 싶지 않지만 주민의 세금이 공직 사회 나눠 먹기에 사용되는 것을 이해할 수 없어 자발적으로 해결에 나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