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지역이나 의료기관에서 나타나는 이른바 ‘메르스 님비(NIMBY·우리 동네에는 안 된다는 것)’ 현상도 문제다. 메르스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발생 여부를 떠나 지역과 의료기관의 상호협력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충북 충주시는 지난달 31일 안림동 한국자활연수원을 메르스 밀접 접촉자 집단 격리시설로 지정해 달라는 보건복지부의 요청에 ‘불가’를 통보했다. 조길형 충주시장은 7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경기나 서울에 격리할 장소가 없다면 충주에서 격리 환자를 받아야겠지만 지금은 그럴 상황이 아닌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마찬가지로 메르스 격리시설 운영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진 강원도는 “도내에 음압병상이 8개(강릉의료원 5개, 원주의료원 3개)밖에 없어 여유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음압병상은 기압을 외부보다 낮게 유지해 바이러스가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한 병실을 말한다.
또 메르스 확진환자가 발생하거나 경유한 의료기관이 공개되면서 다른 민간 의료기관은 갈수록 협조를 꺼리고 있다. 이 때문에 주말에만 확진환자가 15명(6일 10명, 7일 5명)이나 늘어난 서울시는 치료에 필수적인 음압병상 확보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현재 서울에 있는 ‘국가지정 입원병원’(국립중앙의료원 서울대병원 서울의료원)의 음압병상 수는 총 29개에 불과하다. 서울시는 결핵환자 수용을 위한 서울시립서북병원(11병상)과 보라매병원(5병상)의 음압병상까지 ‘메르스 환자용’으로 확보할 방침이다.
공공병원이 확진환자를 모두 수용하지 못한다면 민간병원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다. 서울의 한 대형병원 관계자는 “환자를 받고 치료한 삼성서울병원이 저렇게 몰매 맞는 상황에서 어떤 병원이 쉽게 격리병상을 내주겠냐”며 “솔직한 마음으로 우리 병원에는 메르스 환자가 안 왔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재수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정책국장은 “메르스 확산을 막기 위해선 최대한 많은 격리병상을 확보하고 환자를 빨리 치료해야 한다”며 “앞으로 정부, 지자체, 병원 간 의료 정보를 공유하기로 한 만큼 재난을 함께 극복하려는 협조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