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프트웨어(SW) 교육을 강화하기로 한 것은 미래 사회에는 SW 역량을 기본적으로 갖춘 인재가 필요하다는 인식과 함께 선진국들이 SW 교육을 대폭 강화하는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초중고교의 학습 부담이 늘어난다는 우려도 하지만, 시대 흐름을 감안하면 어릴 때부터 체계적으로 SW를 가르쳐야 한다는 의견이 더 힘을 얻고 있다. 다만 SW 교육이 대학입시로 연결돼 또 다른 사교육 광풍으로 변질되는 것은 막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 공교육 SW 교육 강화
1990년대 후반 정보통신기술(ICT) 교육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중고교의 정보교과 이수율이 2000년 22.3%, 2006년 38.1%로 늘었다. 그러나 점차 관련 교사와 인프라가 줄면서 2012년에는 그 비율이 6.9%로 급락했다. 교육과정 역시 기존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 위주로 구성돼 컴퓨팅 사고력에 기반한 창의적인 교육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정부는 2018년 중고교, 2019년 초등학교에서 본격적으로 SW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기로 한 것이다. 초등학교는 현재 5, 6학년 때 12시간 정도 배우는 ICT 교육을 SW 교육으로 개편해 17시간 이상 가르친다. 중학교는 선택과목인 정보를 필수로 바꿔 34시간 이상 가르치고, 고교에서도 심화선택과목인 정보를 일반선택으로 바꿔 더 많은 학생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정부는 현재 160곳 정도 운영 중인 초중고교 SW 선도학교를 내년에 900곳, 2017년에 2000곳까지 늘리기로 했다. 미래부는 “2014년부터 SW 선도학교를 운영해 보니 학생과 학부모의 반응이 좋다”면서 “교사들도 처음에는 자신이 없어 하다가 성공 모델이 늘어나면서 자신감과 노하우를 쌓아 가고 있다”고 밝혔다.
대학에서도 SW 교육이 강화된다. 정부는 대학의 경우 취업과 직결된 만큼 당장 하반기부터 SW 중심 대학을 8곳 선정하고 2019년까지 20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273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SW 중심 대학은 SW 관련 학과를 신설하거나 유사 학과를 통폐합해 미래형 전공을 만들고, 우수한 SW 인력을 교수진으로 구성하며, SW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실습 및 인턴십을 필수적으로 적용해 SW 교육 모델을 개척하게 된다. SW 중심 대학의 경우 SW 특기자를 해당 학과에서 선발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교육부는 “SW 분야에 재능이 있는 아이들은 대학별 인재선발 제도를 활용해서 시험 없이도 대학에 갈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인프라 부족, 사교육 우려가 과제
SW 교육을 강화한다는 취지는 좋지만 이를 뒷받침할 교육 인프라가 갖춰져 있느냐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많다.
당장 초중고교에서 SW 실습을 늘려야 하는데 정부는 컴퓨터실 확대 방안 등은 내놓지 않았다. 교육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학교 현황을 조사해 단계적으로 시설을 확충하겠다고 밝혔지만 관련 예산은 없는 상태다. SW를 가르칠 교사가 충분치 않다는 것도 문제다. 그나마 중고교의 경우 정보 과목 담당 교사가 933명, 정보 관련 자격증을 가진 교사가 1800명 정도 있는 반면 초등학교는 이런 인력도 없다. 교육부는 2018년까지 초등교사의 30%인 6만 명을 대상으로 SW 직무교육을 하고, 이 중 6000명은 심화연수를 시키겠다는 대책을 밝혔지만 이 정도 교육으로 아이들에게 SW를 가르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사교육 우려도 만만치 않다. 중학교에서 SW가 필수 과목이 되면 자연히 관련 사교육이 생길 수밖에 없고, 특히 대학에서 SW 특기자 전형을 도입하면 사교육이 과열될 가능성이 있다. 학교 교육만으로는 대학에 갈 정도의 심화된 실력을 갖추기 어렵기 때문에 사교육과 양극화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