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과 놀자!/임형주의 뮤직 다이어리]국민가곡 ‘그리운 금강산’ 북한에서도 불리길…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9월 9일 03시 00분


대한민국 광복 70주년 기념 특집
한국가곡의 역사④

2002년 6월 일본 요코하마 월드컵경기장에서 최영섭의 ‘그리운 금강산’을 열창하고 있는 플라시도 도밍고, 호세 카레라스, 루치아노 파바로티(왼쪽부터) ‘빅3’. 동아일보DB
2002년 6월 일본 요코하마 월드컵경기장에서 최영섭의 ‘그리운 금강산’을 열창하고 있는 플라시도 도밍고, 호세 카레라스, 루치아노 파바로티(왼쪽부터) ‘빅3’. 동아일보DB

○ ‘황금기’를 맞은 1950년대 한국가곡

임형주 팝페라테너
임형주 팝페라테너
6·25전쟁 이후 1950년대 한국가곡은 본격적인 ‘황금기’를 맞이했습니다. 앞서 소개한 1세대 작곡가들로부터 작곡수업을 받은 2세대 작곡가들이나 해외 유학 후 귀국해 왕성하게 활동하는 신성 작곡가들이 등장하여 활발하게 창작활동을 이어나가며 우리 음악계를 한층 ‘업그레이드’ 해주었답니다.

특히 1954년 11월에는 현제명의 창작 오페라 ‘왕자호동’이 서울시공관(현 명동예술극장)에서 임원식 지휘 이해랑 연출 및 이상춘, 이경숙, 임만섭, 오현명, 황병덕, 김혜경 등 당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성악가들을 기용한 초호화 캐스팅으로 초연하여 대한민국 창작오페라의 정착 가능성을 입증시켰습니다.

○ 우리 가곡집의 모태가 된 ‘한국가곡집’

한편 이보다 앞선 같은 해 7월에는 ‘산비둘기’, ‘보리밭 머리’ 등 32곡이 수록된 ‘김형주 동요곡집’이 발간되었습니다. 이후 1955년 9월에는 안기영의 제자로 유명한 성악가 한규동이 펴낸 ‘한국가곡집’ 출판 기념음악회가 서울시공관에서 있었는데요, 이 ‘한국가곡집’은 우리 ‘한국가곡’을 조금 더 세분하여 새로운 장르로 정착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이 가곡집에는 김대현의 ‘자장가’, 김동진의 ‘가고파’ ‘내 마음’ ‘뱃노래’ ‘수선화’, 김성태의 ‘동심초’ ‘이별의 노래’ ‘진달래꽃’ 등 주옥같은 대표적 한국가곡 및 오페라 춘향전의 아리아 등 총 50여 곡이 수록됐습니다. 이 가곡집은 한국가곡을 체계적으로 악보화하여 작곡가별로 나누고 정리해 집대성했다는 데서 큰 의미와 의의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야말로 국내 최초의 제대로 된 ‘한국가곡집’이라고 볼 수 있지요.

1958년 12월에는 ‘한국가곡 100곡집’이 당시 국민음악연구회에서 발간되어 그 시절까지의 한국가곡의 발전상을 총정리했습니다. 또한 이 가곡집에 등재된 작곡가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김규환 김대현 김동진 구두회 나운영 박태준 윤용하 윤이상 이흥렬 하대응 현제명 홍난파 등 더 이상 긴 설명이 필요 없는 거장들의 대표 가곡들이 골고루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전환기를 맞은 1960년대 한국가곡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가곡은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는데요, 이 시기는 우리 음악계에 세대교체 바람이 일기 시작해 젊은 작곡가들이 속속 등장합니다. 아울러 당시 세계적인 추세에 따른 현대적 기법의 작품들이 다수 등장하였는데, 작품이 아무리 한국적이라 해도 현대성을 띠지 못하면 시대에 뒤떨어진 구태의연한 낡은 음악으로 취급되어 현대적 혹은 전위적인 기법을 연구하여 작품에 사용해야 한다는 생각이 팽배하게 되었지요. 그리하여 이런 배경 아래에서 1960년대의 한국가곡계는 기법적인 면에서 있어 점차 이원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윤이상, 백병동 등은 당시 세계적인 추세에 따른 새로운 방향의 작품들을 작곡 및 발표하여 평단으로부터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이에 반해 장일남, 최영섭, 김규환, 이수인 등은 일반대중이 함께 교감하고 호흡할 수 있는 대중 친화적인 가곡을 작곡하게 됩니다. 전자의 경우는 한국가곡 역사에서 형식과 양식사적인 면에서의 중요성을 가지며, 후자의 경우는 일반 청중과의 교류라는 점에서 또 다른 중요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국민가곡’ 최영섭의 ‘그리운 금강산’

1972년 8월, 역사적인 제1차 남북적십자 본회담이 북한의 수도 평양에서 개최됩니다. 이러한 소식은 외신들을 통해 전 세계에 전해지며 ‘KOREA’라는 국가브랜드가 다시 한 번 널리 알려지게 되는 특별한 계기가 되었지요. 또한 이 시기에 KBS 전파를 타고 온 국민에게 가슴 뭉클한 뜨거운 감동을 선사해준 곡이 있는데, 그 곡이 바로 오늘날 ‘국민가곡’으로 불리는 최영섭의 ‘그리운 금강산’입니다. 이 곡은 이미 앞선 1962년 초연된 최영섭 작곡의 칸타타 ‘아름다운 내강산’의 삽입곡 11곡 중 한 곡이었는데요. 당시 음악교사로 재직하던 최영섭이 1961년 KBS(전 중앙방송)로부터 6·25전쟁 11주년 기념 및 조국강산을 주제로 한 곡을 의뢰받고 작곡한 것입니다. ‘그리운 금강산’은 웅장하고 장엄한 멜로디의 오케스트레이션과 금강산의 절경, 분단으로 가지 못하는 애끓는 심경을 구구절절하게 표현해낸 가사가 환상의 조화를 이룹니다. 이 곡은 플라시도 도밍고, 안젤라 게오르규 등 전 세계 유명 성악가들의 음반에도 삽입되었지요.

‘그리운 금강산’의 작곡가 최영섭. 동아일보DB
‘그리운 금강산’의 작곡가 최영섭. 동아일보DB
더불어 이 곡은 1985년 남북이산가족 고향방문 예술단 교환 공연에서도 당시 우리나라 유명 소프라노였던 이규도에 의해 평양에서 처음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이 곡을 들은 북한의 전 관중이 일어나 기립박수를 보낸 이야기는 매우 유명하지요. 그러나 가사의 내용 중 ‘더럽힌 지 몇 해’, ‘우리 다 맺힌 원한’, ‘더럽힌 자리’, ‘발아래 산해만리 보이지 마라, 우리 다 맺힌 원한 풀릴 때까지’라는 부분을 북한 정권에 대한 적대적인 감정을 드러내는 것으로, 당시 북한 정부 측이 받아들이는 바람에 이후 가사를 바꾸어 ‘더립힌 지 몇 해’를 ‘못 가본 지 몇 해’로, ‘우리 다 맺힌 원한’을 ‘우리 다 맺힌 슬픔’, ‘더럽힌 자리’가 ‘예대로 인가’로 수정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안타깝게도 북한에서는 금지곡으로 지정되어 현재까지도 불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루빨리 통일이 되어 다시 한 번 평양에서 ‘그리운 금강산’이 울려 퍼지길 진심으로 바라고 또 바랍니다.

임형주 팝페라테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