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토(關東)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은 1923년 일본 간토 지역에서 대지진 발생 직후 일본 군인과 경찰, 일부 민간인 등이 현지 조선인을 집단으로 살해한 사건이다. 피해자가 적게는 6000명에서 많게는 2만여 명으로 추정되는 ‘집단 학살(제노사이드)’ 사건이다.
이번 정부 조사 결과는 2013년 주일 한국대사관 이전 과정에서 발견된 명부를 바탕으로 처음 학살 피해자를 확인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정혜경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조사위원회 조사1과장은 15일 “사건이 일어난 지 92년이나 흘렀기 때문에 유족이나 진술이 가능한 참고인을 확보하기가 매우 어려웠다”며 “다행히 제적등본 조회와 현장 방문 등으로 일부 희생자의 신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명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당시 참혹했던 상황도 확인됐다. 명부에는 피해자의 이름과 나이, 피살 당시 상황이 적혀 있었다. ‘맞아서 죽음’ ‘쇠갈퀴로 개 잡듯 죽여’ ‘식사 중 일본인에게 곡괭이로 피살’ 등 구체적인 상황이 드러났다. 또 현장 방문에서 피해자 유족 등의 생생한 증언도 확보했다. 피해자 이모 씨의 손자는 위원회 면담에서 “도쿄에 돈벌러 갔던 할아버지가 아침을 먹다가 지진이 났고 집 밖으로 뛰어나간 뒤 숨졌다. 형제 두 명은 집안 이중벽장에서 한 달 정도 숨어 지낸 덕분에 목숨을 건졌다”고 진술했다. 또 다른 형제는 당시 일본 사람들에게 한 명이 맞아 숨지고 나머지 한 명은 물속에 들어가 대나무 대롱으로 숨쉬며 버티다 살아난 경우도 있었다.
정부 차원의 유일한 조사 결과가 나왔지만 앞으로가 문제다. 추정 피해자의 1%도 되지 않는 40명의 신원이 겨우 확인돼 조사가 이제야 첫발을 내디딘 셈이지만, 이 조사에 관한 법적 근거가 없는 탓에 위원회 해산 후 조사 결과의 이관 여부뿐 아니라 추가 조사도 불투명한 실정이다. 2010년 출범한 위원회는 법적으로 활동기간이 올해 말까지로 제한돼 있다. 현재 간토대지진 학살사건 진상 규명 등을 위한 법안과 위원회 활동을 연장하는 법안이 국회에 제출돼 있지만 국회가 마비 상태에 빠져 있어 통과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이다.
간토대지진 관련 다큐 영화를 만든 재일동포 출신 오충공 감독과 일본 내 시민단체는 “도쿄에 있는 사망자 카드 5만 장(대지진 당시 도쿄 도에 신고된 자료) 등의 검증 조사에 위원회가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제강점기 피해 관련 단체들도 지속적인 피해 조사를 위해 위원회 존속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댓글 20
추천 많은 댓글
2015-12-16 04:55:58
일제시대 때는 힘이 없어 이렇게 당했으면 지금은 일본을 이길려면 일본 보다 국회의원들이 부정부패도 없고 나랏 일을 더 잘해야 하는데 부정부패가 많고 새민련에 반대한민국의 운동권 출신이 50%여서 기가 막힙니다. 친일로 덮어씌워 공격하는 너무 많은 친북 종북이 문제입니다
2015-12-16 05:02:38
야당이 총선과 대선에서 이기면 완장 차고 곡갱이들고 쳐들어가서 대한민국과 사람 많이 죽일 것 같습니다, 명심해서 투표해야 합니다. 오늘도 야당이 배후조직인 민노총이 3차 민중총궐기 가장한 폭동 경계 주의해야 .야당이 총선 대선에서 승리하면 곡갱이들고 사람죽이는 연습같음
2015-12-16 04:59:17
6.25 때 북괴의 집단 학살을 찾아 보도하는 언론은 못봤습니다. 기자중에 김대중 노무현 추종자가 많아 이런 보도를 하는 한심한 한국 언론 아닙니까? 나라가 힘이 없으면 식민지 되는데 오히려 대한민국 전복 짓밟을려고 광화문 폭동도 일으키는 인간들과 야당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