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들이 대규모 구조조정을 앞두고 심각한 내홍을 겪고 있다. 정부가 개별 대학에 연간 최대 300억 원을 지원하는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프라임) 사업’을 추진하면서 이공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한 대규모 구조조정을 지원 자격으로 내걸었기 때문이다.
22일 대학가에 따르면 프라임 사업 신청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경희대 인하대 등은 구성원들의 반발로 몸살을 앓고 있다. 프라임 사업은 대학 전반의 학사조직과 정원을 산업 수요에 맞춰 구조조정하는 대학을 평가해 대규모 지원금을 주는 사업으로, 이공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대학의 입학 정원을 조정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 과정에서 인문계 일부 학과의 축소 또는 통폐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경희대는 프라임 사업 참여를 위해 입학 정원의 15%(약 725명)를 조정해 새로운 융·복합학과를 만든다는 계획이 알려지면서 학교 측과 총학생회 간의 갈등이 커지고 있다. 인하대도 융합학과를 신설하고 문과대 일부를 축소·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다 총학생회 간부들이 단식투쟁을 벌이는 등 학내 반발에 부닥쳤다.
한 해 예산이 2000억 원이 넘는 대규모 사업을 지나치게 짧은 기간에 추진하면서 졸속으로 구조조정이 실행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프라임 사업 공청회가 10월에야 처음으로 열린 데다 이달 11일 열린 2차 공청회에서는 선정방식과 지표가 큰 폭으로 변경돼 일부 대학의 반발을 샀다. 최종 계획이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내년 2월까지는 사업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서울의 한 대학 기획처장은 “지원금이 크다 보니 따라갈 수밖에 없지만, 대규모 국비가 들어가는 데다 대학의 구조를 큰 폭으로 바꾸는 사업을 이렇게 단기간에 준비해 추진한다는 게 무리가 있다는 것을 교육부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