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영배 전문기자의 풍수와 삶] 청계천이 살려놓은 서울의 복명당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매일 평균 4만5000여 명의 내·외국인이 찾는 청계천 거리.
매일 평균 4만5000여 명의 내·외국인이 찾는 청계천 거리.
안영배 전문기자·풍수학 박사
안영배 전문기자·풍수학 박사
수도 서울의 땅심(지기·地氣)을 유지하는 데 큰 기여를 한 인물은 누구일까. 풍수학에서 볼 때 기자는 조선의 21대 왕 영조(1694∼1776)와 이명박 전 대통령을 꼽는다. 두 사람 모두 서울의 명당수(明堂水)인 청계천을 살리는 데 노력했기 때문이다.

영조는 인공천인 청계천을 오늘날의 형태로 완성한 임금이다. 북악산과 인왕산, 남산 등지에서 내려온 물줄기들이 모이는 청계천은 장마 때면 물이 넘쳐 큰 피해를 냈다. 영조는 1759년 준천소(濬川所)라는 임시 관청까지 만들어 대대적으로 청계천 준설작업을 벌였다. 도시 빈민 구제 목적도 있었다. 당시 한양에는 지방에서 몰려든 실업자들로 북적였다. 하천 바닥을 파내고 여러 다리를 놓는 데 2개월이 걸렸고 총인원 20여만 명이 동원됐다. 한양 실업자들에게는 좋은 일자리였다. 이렇게 해서 청계천은 새로 태어났다.

영조의 청계천 살리기 사업에는 정치적 의도도 숨어 있었던 것 같다. 당시 평안도와 함경도 일대에서는 ‘정감록’이라는 참위서가 나돌아 민심이 흉흉했다. 내용은 한양의 땅 기운이 다해 왕조가 바뀌게 된다는 것. 즉위 이후 역모 사건에 시달려온 영조로서는 무시하지 못할 예언이었다.

땅 기운을 조절하는 데는 물만 한 것이 없다. 풍수 고전 ‘장서(금낭경)’는 ‘물을 얻는 것(得水)이 으뜸’이라고 할 정도로 물길은 매우 중요하다. 지상에서 흐르는 물은 생김새, 유속, 맑기 등에 따라 인근의 명당 기운을 가두거나 담아주는 그릇 역할을 한다. 풍수에 밝았던 영조가 이런 이치를 모를 리 없었을 것이다. 영조가 청계천 물길 살리기를 통해 한양의 기운이 건재함을 백성들에게 과시하려 했을 것이라는 말이 나오는 연유다.

그 덕분일까. 서울은 조선 왕조가 끝나고 대한민국이 들어선 이후에도 수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명당수는 고이지 않고 흘러야 하며, 지상에 드러나 있어야 생명력이 있다. 그래야만 그 주변에 형성된 명당 기운을 모으거나 증폭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이 복개된 청계천을 되살려 놓은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도 그래서다.

명당수처럼 좋은 물인 양수(陽水)도 있지만, 나쁜 물인 음수(陰水)도 있다. 지하의 수맥지대, 웅덩이처럼 갇혀 썩은 물, 인공물질에 덮여 그 아래로 흐르는 물 등이 음수다. 건물 지하에 있는 수족관(아쿠아리움)이나 복개천도 음수에 속한다. 음수는 부근의 좋은 기운을 갉아먹거나 나쁜 기운을 활성화시킨다. 그래서 그 위에 터를 잡은 사람들의 건강과 재운(財運)을 위협하기도 한다.

청계천은 복원을 통해 음수에서 양수로 바뀌었다. 청계천의 양수 기운은 주변 땅값을 올리고 상권을 일으키는 ‘선물’을 가져왔다. 이 사업을 벌인 이명박 시장이 대통령이 되는 데도 청계천이 한몫했다는 것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청계천을 사이에 두고 들어선 SK, 한화, 아모레퍼시픽, 미래에셋, 두산 등 대기업 사옥들도 명당수에 의한 사운(社運) 강화를 기대하고 있다. 청계천으로 사옥을 이전한 후 일부 그룹 총수들이 비리 사건으로 구속되는 수난을 겪자 ‘청계천은 대기업의 무덤’이라는 괴담이 나돌기도 했다. 그러나 청계천을 탓할 일이 아니다. 사옥 기운이 업그레이드되면 사옥 ‘주인’도 그에 맞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강한 기운을 가진 터일수록 그 터에 어울리지 않는 주인을 반기지 않는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터와 사람의 동기감응(同氣感應) 현상이다.

청계천은 풍수적 관점에서 아쉬운 점도 있다. 청계천의 시작 지점인 청계광장의 조형물(스프링)은 수원(水源)의 상징이라고 보기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풍수학자 김두규 교수는 “외국 유명 조각가가 디자인한 조형물이 마치 똬리 모양의 변(便)이 쌓여 있는 모습이어서 청계천을 더럽히는 형세”라며 혹평했다. 기자 역시 이 자리에는 수원을 상징하는 산이나 금생수(金生水·금이 물을 만든다)의 오행원리를 담은 상징물이 더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청계천 복원 과정에서 자연생태와 역사문화를 왜곡했다는 비판도 있었다. 그러나 전국에 복개천 복원 붐을 일으킨 것도 사실이다. 얼마 전 복원된 수원천을 둘러봤다. 2012년 자연형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수원천 일대는 예전과 달리 생기가 충만했고 인근 시장 상인들에게서도 활력이 느껴졌다. 수원천을 복원하기 전에 근처에서 1년간 살아본 적이 있는 기자로서는 물의 변신과 그에 따른 땅 기운의 변화를 실감했다. 물을 살리고 죽이는 것은 물이 아니라 사람이다.

안영배 전문기자·풍수학 박사 ojong@donga.com
#서울#청계천#수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