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사천공항에 발이 묶여 있는 소방 비행기인 CL-215의 도입 과정과 재계약 불발 배경에 대한 진상 규명과 함께 우리나라 산불 대응 체제의 점검 필요성도 제기됐다.
▶본보 18일자 A16면, 20일자 A18면 참조
현재 산불은 산림청 및 지방자치단체가 헬기를 동원해 1차 진화를 하고 사람이 잔불을 정리하는 시스템이다. 산림항공본부는 헬기 45대를 전국 10개 항공관리소에 배치해 두었다. 경남 7대, 강원 6대 등 각 지자체에서 임차한 헬기도 수십 대에 이른다. 산불이 많은 봄과 겨울에 헬기 1대를 임차하는 데 6억∼9억 원, 전국적으로는 수백억 원이 들어간다. 사고도 잦다.
CL-215 소유사인 케이바스는 21일 “세계적으로 진화를 헬기와 인력에만 의존하는 나라는 없다”고 했다. 큰불은 고정익(비행기)이 차단하고 잔불은 회전익(헬기)이 잡는 방법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 비행기와 헬기의 시간 차 합동 작전으로 진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다.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 우리나라와 지형이 비슷한 나라에서도 야간 진화가 가능한 고정익을 많이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회사 간부는 “민간 헬기 업체와 지자체의 불합리한 임차 계약 등으로 3년간 250억 원의 예산을 낭비한 사실이 2013년 감사원 감사에서 적발됐다”고 말했다.
소방 비행기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지만 반론도 만만찮다. 전 산림청 고위 간부는 “진화 장비가 많으면 좋지만 투자 효율성도 무시할 수 없다”며 고정익 도입에 반대했다. 소방 비행기를 자치단체가 단독 임차하기보다는 정부 차원에서 권역별로 운용하면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국제선 민항기 조종사인 전모 씨(57)는 “우리나라는 산과 계곡이 많아 저공 비행이 어렵다. 높은 고도에서 물을 투하하면 진화 효과가 반감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조종사의 숙련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야간 비행 시 시각 참조물이 정확하지 않으면 버티고(착각 비행)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헬기에 비해 상승각이 크고 급격한 기동이 힘든 점도 과제로 꼽았다. 캐나다 교포 조종사 이종수 씨도 비슷한 의견을 내놨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