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원-가족 등 1120명 입갱해 실시… 태백 주민들 13일 대정부투쟁 선언
주민들 반발 수위 갈수록 높아져
정부의 대한석탄공사 폐업과 국영광업소 폐광 추진에 대한 석탄공사 노조와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 수위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석탄공사 노조는 정부의 폐광 정책을 저지하기 위해 15일 막장 단식 투쟁에 돌입하기로 했다. 석탄공사 노조는 11일 강원 원주혁신도시 본사에서 긴급 임시대의원대회를 열고 전 노조원과 가족이 막장 단식 투쟁을 벌이는 안건을 만장일치로 결의했다.
단식 투쟁은 15일 오후 3시 강원 태백시 장성광업소에서 투쟁결의대회를 연 뒤 광원 1020명, 부녀자 100명 등 총 1120명이 입갱해 실시하기로 했다.
김영호 석탄공사 폐광반대비상대책위원장은 “정부의 일방적 폐광 정책이 철회될 때까지 단 한 사람도 햇빛을 보지 않겠다”며 강한 투쟁 의지를 밝혔다.
주민 총궐기도 이어지고 있다. 도계광업소가 있는 삼척시 도계읍 주민들이 7일 궐기대회를 연 데 이어 태백 주민들이 13일 태백시 황지연못에서 대정부 투쟁 선포와 출정식을 갖는다.
(사)태백시지역현안대책위원회가 주관하는 이날 출정식에는 주민 1000여 명이 참가해 폐광 철회와 장기적인 대체산업 발굴, 폐광지역 회생을 위해 설립된 강원랜드의 역할 이행 등을 정부에 촉구할 계획이다.
앞서 현안대책위는 10일 석탄공사 폐업 반대 및 강원랜드 책임 이행을 촉구하는 주민 1만6850명의 서명부와 호소문을 청와대와 4개 정당 원내대표 등에게 전달했다. 현안대책위는 호소문을 통해 “태백시의 마지막 목숨줄인 장성광업소의 폐광은 태백시민에게 청천벽력 같은 절망”이라며 “대책 없는 폐광을 막고 폐광지역에 대해 그 책임을 다하지 않는 강원랜드를 바로 세워 달라”고 촉구했다.
태백시는 석탄산업이 활황이던 1980년대까지 인구가 12만 명에 달했지만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 이후 잇단 폐광과 인구 유출로 현재는 4만8000명의 소도시로 전락했다. 삼척 도계읍도 5만 명에서 1만2000명으로 급감했다. 이들 지역의 마지막 국영광업소인 장성광과 도계광이 문을 닫으면 지역 경제는 초토화될 가능성이 크다.
석탄공사 폐업과 폐광 반대 열기는 강원 전역으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강원도 시군의회의장협의회와 강원도의회 폐광지역개발촉진지원특별위원회가 폐광 철회 촉구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강원도 노사민정협의회(위원장 최문순 강원도지사)도 폐광 반대에 가세했다.
협의회는 10일 성명을 통해 “정부가 현재 운영 중인 광산을 폐광한다면 근로자와 가족 등 8000여 명이 거리로 내몰리게 될 것”이라며 “즉각적인 철회와 폐광지역에 대한 대체산업 육성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에너지 공공기관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석탄공사 폐업과 장성광, 도계광, 전남 화순광 등 3개 국영광업소 폐광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