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미세먼지 관련 정부 브리핑 현장에서는 ‘향후’ ‘미정’ ‘부처 간 협의’란 단어가 수시로 튀어나왔다. 정부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2020년까지 미세먼지 저감에 5조 원을 투입한다’는 내용을 담은 미세먼지 특별대책 세부이행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세부 대책은 △2020년까지 친환경차 150만 대, 전기·수소차 충전소 3100곳 확대(3조7600억 원 투입)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1800억 원 투입) △압축천연가스(CNG) 버스 구입비 지원 600만 원→1200만 원 △노후 경유차 폐차 후 신차 구매 시 세금 감면 등이다. 환경부를 포함해 기획재정부,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국무조정실이 합동으로, 지난달 3일 발표된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의 세부안을 내놓은 것.
하지만 세부 대책이란 말이 무색할 만큼 구체적 내용과 일정이 미정인 채 발표됐다. 친환경차, 충전 인프라 등에 투입될 예산 5조 원 확보에 대해서는 “부처 간 협의해 확정할 계획”이라는 대답이 나왔다. 발전 분야 미세먼지 저감방안 세부안 역시 노후 석탄 화력발전소 10기 폐쇄 등 큰 틀만 제시했을 뿐 실행 방법은 7월에 확정하기로 했다. 수도권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제도(LEZ) 확대 결정도 구체적인 시행 지역, 시기, 대상 차종은 “지자체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또 2005년 이전 출고된 노후 경유차를 폐차하고 신규 승용차를 사면 개별소비세를 6개월간 70% 감면(한도 100만 원)한다는 내용 역시 앞뒤가 맞지 않는 대책이란 지적을 받았다. ‘신규 승용차’에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꼽히는 ‘경유차’도 포함됐기 때문이다. 가장 큰 이슈였던 경유 가격 인상에 대해서는 ‘7월 중 에너지 상대가격 연구에 착수하겠다’고만 밝혔다.
부실은 발표 전부터 예고됐다. 정부는 세부 계획 발표 하루 전인 지난달 30일 오후 2시 브리핑 계획을 공표했지만 5시간 뒤 돌연 취소했다. 하지만 1일 오전 6시 ‘예정대로 (발표)한다’고 번복했다. 발표 당일까지 오락가락한 끝에 내놓은 세부 계획이 반쪽짜리인 것으로 나타나자 “부처 간 갈등이 재연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