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석탄공사와 국영 광업소의 단계적 구조조정안에 대한 강원 탄광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정부는 당초 알려졌던 석탄공사 폐업 및 2019년 태백 장성광업소, 2021년 삼척 도계광업소 폐광 대신 현재 인원을 단계적으로 줄이고 신규 채용을 중단하는 내용의 구조조정안을 발표했지만 지역 주민들은 “사실상 폐업 수순”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태백지역 104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태백시지역현안대책위원회는 14일 중앙로와 정선 강원랜드 일원에서 ‘석탄공사 대체산업 및 강원랜드 책임 이행 요구 시민 총궐기대회’를 연다. 대책위는 투쟁 당일 상가 철시를 결정했고, 한 운수회사는 이날 궐기대회 참가 시민들을 위해 시내버스를 무료로 제공하겠다는 의사를 10일 밝혔다.
대책위는 100인 만장 선봉대 및 여성 삭발 투쟁 지원자를 접수하는 한편 총궐기대회 참여를 독려하는 가두방송을 펼치고 있다. 대책위는 “정부가 주도하는 석탄공사의 감원 및 석탄 감산 정책은 지역의 경제권을 송두리째 무너뜨리는 것”이라며 “대책 없는 폐업 및 폐광 시도를 즉각 중단하고 대체산업 시행 약속을 먼저 하라”고 촉구했다.
장성광업소는 지난해 말 기준 근로자(하도급 포함)가 1100여 명으로 4인 가족으로 계산하면 태백시 인구 4만7297명(3월 현재)의 10% 정도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장성광업소가 문을 닫으면 지역 경제는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대책위는 총궐기대회 후에도 정부가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면 상경 집회와 1인 시위 등으로 투쟁 강도를 높여나갈 방침이다. 박대근 태백시지역현안대책위원회 사무처장은 “장성광업소가 문을 닫으면 태백 경제는 몰락하고 4, 5년 뒤엔 인구 급감으로 도시가 황폐화될 것”이라며 “정부가 지금부터라도 탄광에 버금가는 대체산업 육성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석탄공사 노조는 정부의 폐업 추진 계획이 알려진 뒤 총파업을 결의하는 등 강하게 반발했지만 지난달 14일 정부가 발표한 단계적 구조조정안을 수용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