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으로 피해를 본 학생이 감소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고교생에 비해 초등학생의 피해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교육부의 ‘2016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학교 폭력 피해를 경험한 학생의 응답률이 지난해 조사보다 0.1%포인트 감소한 0.9%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2년 이후 5년 연속 감소 추세로 초·중·고교 중 중학교의 감소폭(0.2%포인트)이 가장 컸다.
학교폭력 실태조사는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공동으로 초·중·고교생의 학교폭력 피해·가해 경험을 조사하는 것으로 매년 2차례 실시한다.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교 3학년생을 대상으로 최근 6개월 간 학교폭력 관련 경험을 6주간(3월 21일~4월 29일) 온라인으로 조사했다. 이번 조사에는 재학생 456만 명 중 423만 명이 참여했다.
학교폭력 피해를 본 학생은 0.9%(약 3만9000명)로 나타났다. 지난해 1차 조사 때보다 0.1%포인트, 약 5000명 줄어든 수치다. 피해를 봤다는 학생 비율은 초등학교 2.1%(약 2만6000명), 중학교 0.5%(약 7100명), 고등학교 0.3%(약 5200명)였다. 지난해 1차 조사와 비교해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각각 0.2%포인트, 0.1%포인트 감소했지만 초등학교에서는 0.1%포인트 증가했다. 초등학교 4학년생의 피해 응답률이 3.9%로 특히 높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초등학교 4학년은 매년 1차 조사 때 피해응답률이 높다가 2차 조사 때는 낮아지는 경향이 반복되고 있어 2차 조사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피해응답률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초등학생 맞춤형 학교폭력 대책’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학교폭력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언어폭력(학생 1000명 당 피해응답 건수 6.2건), 집단따돌림(3.3건), 신체폭행(2.2건) 등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 시간은 주로 쉬는 시간(39.4%)이 많았고, 하교 이후(16.4%) 점심시간(10%), 하교시간(6.5%) 등의 순으로 드러났다. 가해자는 주로 같은 학교의 같은 학년(67.4%)이 대다수를 차지했고, 다른 학교 학생의 비율은 3.8%를 차지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