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 산실’로 우뚝 선 일제강제동원역사관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7월 22일 03시 00분


부산서 2번째 국립박물관으로 등록… 국가귀속 유물 위탁처 지정 등 가능
사업 콘텐츠 다양화로 활로 모색

평화문화특구인 부산 남구 대연동에 위치한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전경. 최근 1종 전문 국립박물관으로 등록돼 명실상부한 역사 교육의 산실로 자리매김한다. 동아일보DB
평화문화특구인 부산 남구 대연동에 위치한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전경. 최근 1종 전문 국립박물관으로 등록돼 명실상부한 역사 교육의 산실로 자리매김한다. 동아일보DB
평화문화특구인 부산 남구 대연동에 들어선 국내 유일의 일제강제동원역사관이 1종 전문 국립박물관으로 등록돼 역사 교육의 산실로 우뚝 선다.

일제강제동원역사관은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 1종 전문박물관으로 등록을 완료했다”고 21일 밝혔다. 전국에서는 41번째, 부산에서는 2번째 국립박물관이다.

이에 따라 국립박물관에 맞는 사업 콘텐츠 개발은 물론이고 역사 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화한다. 또 국가 귀속 유물 위탁처 지정을 신청할 수 있고 교육용 전력요금이 적용되는 등 각종 세제 감면 혜택도 받을 수 있다.

대일항쟁기에 러시아 사할린으로 강제동원된 조선인 청년들이 결의의 징표로 만든 수첩 형태의 ‘결의형제서약서’.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제공
대일항쟁기에 러시아 사할린으로 강제동원된 조선인 청년들이 결의의 징표로 만든 수첩 형태의 ‘결의형제서약서’.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제공
이와 동시에 역사관은 소장 유물 2000여 점의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작업도 마무리했다. 기존 임시 홈페이지를 개편해 11월경에는 새로운 홈페이지를 통해 DB를 토대로 전시, 유물, 기증자, 교육 및 행사를 소개하는 등 다양한 정보를 서비스한다. 홈페이지는 한국어 외에도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안내한다.

중장기 계획으로 소장 유물 중 일부를 유네스코 세계기록물 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최근에는 개관 이후 처음으로 귀중한 자료를 확보했다. 부산 기장군 정관읍에 사는 사할린 영주 귀국 동포인 안해준 씨(78)가 대일 항쟁기에 러시아 사할린으로 강제 동원된 조선인 청년들의 결의의 징표인 ‘결의형제서약서’ 2권을 기증한 것이다.

성인 손바닥 크기의 수첩인 이 기증품은 안 씨가 친형에게서 물려받은 것으로 1950년 3월 12일과 1957년 2월 17일에 각각 만들어졌다. 수첩에는 조선인 청년 9명의 사진, 이름, 본적 등이 기록돼 있다.

낯선 이국땅 사할린에 혈혈단신으로 끌려간 조선인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죽음 앞에서도 서로 도우며 가족처럼, 형제처럼 지내자는 의미로 작성해 각자 1부씩 갖고 있던 문서다.

1950년에 작성된 결의형제서약서 서문에는 ‘유아동포(惟我同胞)가 생어동방(生於東方)이더니 홀지이향(忽地離鄕)이 월산도해(越山渡海)하고…. 생사고락(生死苦樂)을 상조상교(相助相校)하므로 일지연맹(一枝連盟)하고 영구준수(永久遵守)하기로 자어성서(玆於成序)하니 신지신지언(愼之愼之焉)’이라고 적혀 있다. 나라를 잃고 강제동원 된 피해자들의 고통스러운 삶이 고스란히 묻어 있다.

역사관은 앞으로 역사관 내부와 홈페이지에 ‘명예의 전당’ 코너를 만들어 새로운 기증물을 전시하고 소개하는 등 기증문화를 활성화시켜 나갈 계획이다.

일제강제동원역사관은 일제에 의해 자행된 강제동원의 참상을 알리고 올바른 역사의식 고취, 강제동원 희생자 애도 및 유족 위무, 인권과 세계평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희생자들이 조국 땅을 마지막으로 밟았던 곳이자 광복 후 첫 귀향의 땅인 부산에 건립됐다.

522억 원을 들여 7만5465m²의 터에 지상 7층, 총면적 1만2062m² 규모로 세계인권기념일인 지난해 12월 10일 문을 열었다.

행정자치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위탁 관리하고 있는 역사관 근처에는 유엔평화기념관과 유엔묘지, 평화공원 등이 위치해 평화와 인권의 상징구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김우림 관장은 “‘함께 기억하고, 널리 알리는 역사관’이란 선언문답게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해 국민에게 사랑받는 역사관이 되도록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조용휘 기자 silen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