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와 기상청이 각각 따로 맡았던 미세먼지 및 황사 예보·발표가 내년부터 통합된다. 부처 간 칸막이의 대표 사례로 꼽히면서 빈축을 산 데다 올해 초 잇단 오보로 문제가 되면서 두 기관이 부랴부랴 체질 개선에 나섰다.
환경부와 기상청은 미세먼지(PM10·입자 지름 10μm 이하)와 황사 강도 발표 기관을 한 곳으로 일원화한다고 2일 밝혔다. 미세먼지와 황사 경보 체계를 합쳐서 3단계(미세먼지주의보, 미세먼지경보, 황사경보)로 운영한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현재까진 미세먼지 예보를 담당하는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은 △미세먼지주의보(m³당 150μg) 및 경보(300μg)를 발령했다. 황사 예보를 담당하는 기상청은 △황사주의보(m³당 400μg) 및 경보(800μg)를 따로 발령했다. 그러나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7분의 1 정도밖에 되지 않는 초미세먼지(PM2.5)와 달리 미세먼지(PM10)는 황사와 입자 크기가 비슷해 사실상 예보를 통합하는 것이 행정 효율성이 높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았다.
황사와 미세먼지 예보를 통합하면서 기존의 황사주의보는 빼기로 했다. 즉, 미세먼지(PM10) 기준으로 △미세먼지주의보(m³당 150μg) △미세먼지경보(300μg) △황사경보(800μg) 순으로 발령한다. 또 내년부터 기상청은 예보문을 통해 황사 현상의 유무만을 밝히기로 했다. 미세먼지 농도는 통합예보실이 발표한다.
2000년대 초반 누가 황사 예·경보를 담당할지 논란이 벌어지자 인위적 요인인 스모그와 미세먼지는 환경부가 담당하고 자연적 요인인 황사는 기상청이 전담하기로 정리했다. 이와 같은 칸막이가 정해지자 예보도 경직됐다.
대표적인 사례가 올 4월 9일 황사 공습이었다. 기상청은 전날(4월 8일)까지 황사가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관련 예보를 내놓지 않았다. 이를 받아보는 국립환경과학원은 앞서 중국 북부 지역서 황사와 미세먼지가 증가했다는 보고를 받고도 기상청이 “문제없다”고 주장하자 예보 계획을 수정해 미세먼지 ‘보통’ 수준이라는 예보를 공개했다가 체면을 크게 구겼다. 실제로 4월 9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미세먼지는 창문을 단속해야 하는 ‘매우 나쁨’ 수준까지 치솟았기 때문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