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수학 협력강사가 정규 수업 중에 학생들을 개별 지도 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 제공
서울시교육청이 ‘수포자’(수학포기자) 없는 학교를 만들기 위해 서울 중고교 교실에 교과 교사 외에 협력강사를 한 명 더 두는 사업을 추진한다.
5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청은 내년부터 ‘중등 학습부진협력강사제’(협력강사제)를 본격적으로 도입할 방침이다. 이 제도는 교과 과정을 따라가기 위한 기초 학습 능력이 부족하거나, 학습 속도가 느린 학생들이 수학 영어 등 주요 교과목 수업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이다. 협력강사는 대학에서 해당 교과목을 전공하고, 교사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으로 정규 교과 수업 시간에 학습 부진 진단을 받은 학생의 멘토 역할을 하고, 방과후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을 개별 지도한다.
서울시교육청은 3월부터 20개 중고교를 대상으로 협력강사제를 시범 운영했고 내년부터 33개 신청 학교(중학교 22곳, 고교 11곳)의 중학교 1학년, 고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확대 운영할 방침이다.
올해 시범사업이 진행된 한 고교 1학년 A 양은 “그동안 이해가 안 돼서 수학 진도를 못 쫓아갔는데, 지금은 혼자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더이상 학원에 다니지 않는다”고 했다.
이 제도가 학교 현장에 제대로 안착하기 위해 해결돼야 할 과제도 있다. 예산 문제다. 현재 협력강사는 매주 15시간 정도 수업에 참여하는데, 학교에 지원되는 연간 1000만 원의 예산으로는 우수 강사를 지속적으로 유치하기가 어렵다. 해당 사업 시범학교의 한 수학 교사는 “협력강사의 수당이 너무 적어 모집이 어렵다”며 “우리 학교는 운이 좋아 좋은 분이 왔지만 현재 예산은 비현실적”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