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2~3시간 일하거나 주중 서너 차례만 근무하는 ‘초단기 근로자’가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취업시간별 취업자’에 따르면 ‘일주일 근로시간’이 1시간~17시간인 취업자는 올해 3분기 기준 134만3000명으로 1년 전 같은 기간(125만2000명)보다 9만1000명이 늘었다.
일주일 근로시간 1∼17시간 취업자 규모 134만3000명은 154만 명을 기록한 2011년 3분기 이후 5년 만에 최대치다.
1시간~17시간이 밑도는 일자리는 하루 근무시간이 짧거나 주중에 서너 차례만 근무하는 형태다.
초단기 근로자가 늘어나면서 전체 취업자도 늘어났다. 그러나 전체 취업자 가운데 초단기 근로자의 증가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빨랐다. 올 3분기에 전체 취업자가 1.2% 증가하는 동안 초단기 근로자는 더 큰 폭인 7.2% 늘었다.
초단기 근로자가 늘어난 것은 정부가 경력 단절 여성을 고용시장에 끌어들이기 위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을 장려한 결과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초단기 근무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한 근로자들도 많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기업들이 상용직 대신 아르바이트생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경향이 짙어졌다는 것.
이에 초단기 근로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선 경기 부양,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온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