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이 게임이나 인터넷,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이에 따른 사이버폭력이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내년부터 사이버 중독 예방교육을 학년별로 10시간 이상 실시한다. 교육부는 미래창조과학부, 문화체육관광부, 여성가족부, 방송통신위원회와 함께 '게임·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및 사이버폭력 예방교육 대책'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내년부터 교과 및 창의적체험활동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통신윤리 교육 자료를 개발 및 보급할 방침이다. 예를 들어 중학교 1학년의 경우 사이버 보안관이 돼 사이버 왕따를 고민하는 친구를 도울 방법을 생각해보거나 고등학교 1학년에게는 영어 시간에 '충고한다'는 표현을 이용해 저작권 보호를 위한 영어 만화를 완성하는 식이다.
교육 자료는 학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 형태로 개발된다. 사이버 중독 예방교육은 학년별로 10시간, 학기당 2회 이상 운영한다.
교원과 학부모의 대응 역량도 강화한다. 소프트웨어 담당 교원이나 디지털교과서 교원 연수 때 정보통신윤리 관련 내용을 새롭게 포함시킬 예정이다. 학부모 스스로 자녀의 인터넷·스마트폰 사용 실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관련 자료를 '스마트쉼센터'(www.iapc.or.kr)에 공개한다.
이번 대책은 중고교생 스마트폰 보유율이 9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학교 현장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나왔다. 자율 조절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은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다. 미래부에 따르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학생 비율은 2013년 25.5%, 2014년 29.2%, 지난해 31.6%로 해마다 늘고 있다. 같은 기간 '카카오톡 왕따' 같은 사이버폭력 비중도 5.4%, 6.1%, 6.8%로 높아지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