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군은 종 모양의 철제 구조물에 각자의 꿈을 열쇠에 적어 매달 수 있는 종을 만들어 박물관 입구 잔디밭에 설치했다고 5일 밝혔다.
소망의 종에는 7일부터 열쇠를 달 수 있다. 평면과 입체 형태로 만든 2가지 종류의 종 모양 열쇠를 박물관에서 구입해 소원을 적은 뒤 이 종에 매달면 된다. 평면 종은 5000원, 입체 종은 1만 원이다.
진천군 관계자는 “여러모로 혼란한 요즘 시대에 꿈을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꿈을 되찾아주기 위해 이 종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역사테마공원에 자리 잡은 국내 유일의 복제 종(鐘) 전문 박물관인 ‘진천종박물관’ 1층 전시실 입구에는 한국의 대표 종이자 ‘에밀레종 설화’로 유명한 성덕대왕신종이 관람객을 맞는다. 실물 크기로 종을 완성한 뒤 거푸집을 떼어내는 형상을 연출했다. 성덕대왕신종은 고대 종 가운데 최대의 범종이자 정교한 세부 장식과 아름다운 종소리를 간직한 한국 범종 최고의 걸작이다.
전시실 안에는 국가무형문화재 112호인 주철장 원광식 선생(74)이 밀랍 주조공법으로 복원 및 복제한 고대 범종이 줄을 지어 서 있다. 원 선생은 17세 때 할아버지로부터 범종 제작을 전수받은 뒤 종 제작에만 매진해 온 장인. 1969년 작업 도중 쇳물이 튀어 한쪽 눈을 잃기도 했던 그는 1997년 전통범종 제작 기법인 ‘밀랍주조법’ 재현에 성공했다.
2005년에는 대형 범종 제작을 위한 새 밀랍주조법을 개발해 특허까지 냈다. 2000년 대한민국 명장(名匠)으로, 2001년 중요무형문화재로 각각 지정받았다. 2005년 국내 첫 종박물관이 진천에 세워지자 150여 점의 종을 기증했고, 그의 딸 보현 씨는 현재 주철장 전수생으로 활동 중이다.
2층으로 이어진 제2전시실에서는 한국의 전통 종 제작법인 ‘밀랍 주조법’과 중국 일본 등의 ‘사형 주조법’을 비교해 보여준다. 밀랍주조법으로 종을 만드는 과정을 인형으로 정교하게 제작해 어린이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