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암물질로 알려진 과불화화합물이 들어간 코팅 조리기구가 아무런 규제 없이 쓰이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소비자단체인 녹색소비자연대는 27일 ‘생활 속 화학물질로부터 소비자안전 확보방안 모색’ 토론회에서 위해화학물질인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법적 규제가 없어 소비자가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7월 홈쇼핑에서 대박을 낸 유명 프라이팬 업체는 허위광고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경고 조치를 받았다. 프라이팬에 안전한 ‘티타늄’ 코팅이 들어갔다고 했지만 실은 불소수지 코팅이었다. 불소수지 코팅에는 발암물질로 알려진 과불화화합물이 들어간다.
과불화화합물은 탄소와 불소의 화합물로 열에 강하고 물과 기름 등이 쉽게 스미지 않아 의류, 가구, 광택제 등에서 방수·방유 목적으로 쓰여 왔다. 과거 프라이팬, 냄비의 눌음방지(non-stick) 코팅에 쓰인 과불화옥탄산(PFOA)도 과불화화합물의 하나다. 하지만 이 과불화옥탄산이 동물실험에서 간독성과 암 유발 가능성이 확인됐다. 반감기가 3.8∼5.4년이라 체내 축적량이 높아질 우려가 큰 데다 분해가 안 되는 잔류성 유기화합물질로 체외 배출 후에도 계속 자연을 순환한다. 이에 국제협약에 의해 자발적 사용 규제 물질로 규정됐다.
문제는 규제가 법적인 것이 아닌 자발적인 것이라는 점. 녹색소비자연대는 “업체가 몰래 PFOA를 써도 규제할 법적 근거가 없다. 정부가 위해성을 판단해 규제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환경부는 2006년 시화호 오염 문제 당시 인근 주민들에게서 과불화화합물 체내 함량이 높게 측정되면서 관련 규제를 마련하겠다고 했지만 아직도 논의 중이다.
PFOA의 대체재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토론자로 참가한 양지연 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 교수는 “대체재라 하면 또 다른 과불화화합물일 가능성이 높은데 위해성이 비교적 낮다 해도 검증이 안 된 만큼 정부의 포괄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녹색소비자연대는 업체도, 정부도 대체재에 대해 공개하지 않는다며 엄정한 관리를 요구했다.
댓글 8
추천 많은 댓글
2017-03-28 09:53:54
공시생여러분! 광주사람이면 공직,대기업지망자들은! 귀하보다 10점을 더받는다는군요 심지어 직계가 아니어도 양자로라도 적에올리면 10점이나 더받고 공직의 문에 들어서게 됩니다 이 기우러진 운동장 그냥 두고보겠나요 광주엔 자격자가 너무많아서 이젠 타시도로 대거진출한답니다
2017-03-28 09:53:38
보훈처는 518광주사태보훈수급자가 20여년간 해마다 수백명씩 자꾸만 늘어나는 이유와 명단을 공개하라 또 인후인보증 단 두명으로 보훈자가 되고 양자로만 입적되어도 대를 이런 혜택을 받게되는게 사실인지도 밝혀라!
2017-03-28 09:53:23
이렇게 기우러진 운동장에서 눈물겨운 투쟁을 해야하는 공시생여러분 이제는 빨갱이들의 거짓된 탈을 벗겨버려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