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들이 한 달에 한 번 금요일 오후 4시에 조기 퇴근하는 유연근무제가 14일 처음 시행되는 가운데,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로 여론이 뜨겁다.
인사혁신처(인사처)는 일과 가정이 양립하는 문화 정착을 위해 일부 직원들을 중심으로 유연근무제를 실시한다고 이날 밝혔다.
인사처에 이어 오는 21일에는 법제처, 26일 문화체육관광부와 중소기업청, 28일에는 기획재정부가 유연근무제에 참여하게 되며, 다음 달부터는 전 부처에서 시행할 예정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2월 소비를 유도하고 내수활성화를 위해 한 달에 한 번 금요일 조기 퇴근하는 유연근무제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우선 정부 부처 공무원들이 한 달에 한 번 오후 4시에 조기 퇴근을 하고 다른 날 2시간을 더 일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와 관련해 네티즌들은 이날 온라인에 “공공서비스는 언제 받으라는 거냐(kerry****)”, “세금으로 월급 받으면서 일찍 퇴근해서 좋겠다(qhde****)”, “회사원들 관공서에 갈려면 조퇴하고 가야 되겠네(hhlp****)”등 공무원 유연근무제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민간 기업과의 형평성 논란도 있었다. 애초 정부는 주요 부처를 시작으로 차차 범위를 확대하며 민간 기업의 조기 퇴근을 장려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뚜렷한 방안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일부 네티즌은 “중소기업은 협력사 제조업 주야 2교대 하는데 쉬는 날도 별로 없다. 중소기업 생각 안 하나(love****)”, “공무원만 4시 조기퇴근, 누구 약 올리는 것인지?(jong****)”, “주6일 근무하는 사람 널리고 널렸다(jwar****)”, “비공무원들도 적용하는 법안 만들어주세요…대한민국은 공무원 천국(wjk1****)” 등의 의견을 남겼다.
반면 “싫든 좋든 공무원부터라도 시행하면 그게 대기업 중소기업으로 점점 퍼지고 사회문화로 고착된다. 주5일제가 언제부터 당연하게 되었나? 공무원부터라도 제도는 시작해야 한다(beau****)”, “더 쉬게하는 것도 아니고 다른 날로 시간을 옮기는 것일 뿐이고 표준적인 근로 환경을 공무원 사회에서 마련하여 제공해야 다른 기업에도 정부가 압력을 줄 명분이 생기고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이다(marl****)” 등 긍정적인 반응도 일부 있었다.
댓글 0